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朝鮮 後半期 關北名勝圖 연구 – 南九萬題 계열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애-
dc.date.accessioned2021-06-18T09:43:06Z-
dc.date.available2021-06-18T09:43:0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sn1225-256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5913-
dc.description.abstract조선시대 관북지역, 즉 함경도 소재 명승의 시각화는 1664년에 北道試官으로 파견된 金壽恒(1629~1689)이 편찬한 《北關酬唱錄》에 실린 화원 韓時覺(1621~?)의 實景圖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1674년, 함경도관찰사 南九萬(1629~1711)이 왕실사적과 지역의 명승을 널리 알리고자 해당 경관을 설명하는 記文과 실경도를 조합해 완성한 《咸興十景圖》와 《北關十景圖》가 등장한 이후 본격화되었다. 총 20경으로 이루어진 ‘南九萬題 關北名勝圖’는 그의 생존 당시에 이미 한양에 알려졌고, 함흥 현지에 보관된 異本은 후임 관리들이 摹寫本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현재 1674년 당시에 제작된 작품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咸興內外十景圖》가 원본을 충실히 답습한 사례로 꼽힌다. 이처럼 17세기 후반에 확립된 남구만본의 틀은 19세기말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며 관북명승도의 전개를 견인하였다. 현존하는 조선 후기와 말기의 관북명승도는 각각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1731년에 제작된 《함흥내외십경도》나 1882년에 羅元石이 그린 《咸興十景圖 關北十景圖》와 같이 남구만본의 원형을 간직한 臨摹作 계열이다. 이들 작품은 상대적으로 회화성이 떨어지고 17세기 후반의 양식적 특징을 보전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18세기에 제작된 동아대학교박물관의 <廣浦圖>와 1890년에 趙重黙(1820~?)이 그린 《關北十勝圖》처럼 제작 당시 중앙화단에서 유행하던 南宗畵風이 적용된 작품으로 세련되고 안정된 필묵법이 구사되어 있다. 첫 번째 유형의 경우 1731년에 시관으로 파견된 尹淳(1680~1741)의 주문으로 《北關別科圖》와 함께 현지에서 완성되었다고 판단되는 《함흥내외십경도》의 작자나 나원석이 모두 지역화사이다. 그리고 두 번째 유형은 조중묵과 같이 중앙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얻은 화가의 솜씨가 발휘된 작품으로 생각된다. 즉 새로운 화풍의 습득이 원활하지 않았던 지역화단의 한계와 보수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중앙화단과의 격차를 방증한다. 이상과 같이 관북명승도는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제작되었지만, 관련 인사는 김수항ㆍ남구만ㆍ韓章錫(1832~1894)ㆍ洪岐周(1829~?) 등 대부분 외지 출신 문인관료들이다. 또한 18세기 중반부터 감영에 軍官畵師가 파견되었으나 이름이 알려진 화가의 작품은 드물다. 아무래도 변방에 대한 물리적, 정신적 거리감이 컸던 탓에 순수한 紀行寫景을 목적으로 관북지역을 찾는 일은 흔치 않았던 것 같다. 남구만의 정형이 고착화되어 내려온 것도 외부의 자극이나 새로운 시도가 부족했음을 드러낸다. 그 결과 지방관을 비롯한 파견 관리들이 핵심 주문층으로 자리 잡았고, 官歷을 기념하는 일종의 ‘宦遊物’로 제작되는 경향을 띠었다. 문자기록을 통해 관북의 실정과 풍속을 증언한 대다수 문사들이 外地人이었던 점과 같은 맥락선상에 있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abstractGwanbuk myeongseungdo (關北名勝圖, The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Gwanbuk) began to be established in 1674 when a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Nam Gu-man (南 九萬, 1629-1711) order anonymous painter to depict famous scenic spots in the province under his administration. He produced twenty landscape paintings under two titles, Hamheung sipgyeongdo (咸興十景圖, Ten Scenic Spots of Hamheung) and Bukgwan sipgyeongdo (北關十景圖, Ten Scenic Spots of Bukgwan), with an aim to introduce the royal historical sites and scenic spots of the province to a wider public. Each painting is attached with a postscript containing an explanatory note about the spot captured in it. His landscapes of the scenic spots of Gwanbuk were introduced to the capital of Joseon during his lifetime while a separate collection of paintings stored in his office in Hamheung was later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pies by his successors. The style and content of the Nam's original paintings continued to be transmitte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although the remaining copies made in the 18th can 19th centuri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the paintings copied from the originals by local painters, containing the style of the late 17th century landscapes. Meanwhile, the paintings of the second group display refined brush strokes influenced from the paintings of the Southern School which were enjoying great popularity among the contemporary painters in the capital area. Gwanbuk myeongseungdo continued to be produced for a long period but mostly related to literary officials living outside the region.Considering that few of these paintings were made by renowned artists, few painters seem to have visited actual sites in Gwanbuk for their works. These paintings were produced largely to meet the demand of the officials serving the local administration who wanted them to be art works of their official journey (宦遊物).-
dc.format.extent35-
dc.publisher한국미술사학회-
dc.title朝鮮 後半期 關北名勝圖 연구 – 南九萬題 계열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Gwanbuk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the Nam Gu-man Style-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31065/ahak.278.278.201306.00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미술사학연구, v.278, no.278, pp 61 - 95-
dc.identifier.kciidART001781584-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95-
dc.citation.number278-
dc.citation.startPage61-
dc.citation.title미술사학연구-
dc.citation.volume278-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관북-
dc.subject.keywordAuthor함경도-
dc.subject.keywordAuthor실경산수화-
dc.subject.keywordAuthor관북명승도-
dc.subject.keywordAuthor남구만-
dc.subject.keywordAuthor조중묵-
dc.subject.keywordAuthor환유-
dc.subject.keywordAuthor(關北-
dc.subject.keywordAuthorGwanbuk Region)-
dc.subject.keywordAuthor(咸鏡道-
dc.subject.keywordAuthorHamgyeong Province)-
dc.subject.keywordAuthor(實景山水畵-
dc.subject.keywordAuthorReal-view landscape painting)-
dc.subject.keywordAuthor(關北名勝圖-
dc.subject.keywordAuthorpaintings of scenic spots of Gwanbuk)-
dc.subject.keywordAuthor(南九萬-
dc.subject.keywordAuthorNam Gu-man)-
dc.subject.keywordAuthor(趙重黙-
dc.subject.keywordAuthorCho Jung-mook)-
dc.subject.keywordAuthor(宦遊-
dc.subject.keywordAuthorhwanyou-
dc.subject.keywordAuthorofficial journey)-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Fine Ar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