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경기 도당굿 ‘화랭이’ 개념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목진호-
dc.date.accessioned2021-06-18T10:41:18Z-
dc.date.available2021-06-18T10:41:1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sn1225-7796-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6055-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무악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음악학적 개념에 대한 강조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 맥락을 같이하여, 이 글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을 통해 ‘화랭이’ 개념에 관한 의미를 밝히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질적연구방법론의 한 가지인 문화기술지 연구로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분석의 틀은 역사적 관점, 현장적 관점, 사회적 관점, 기능적 관점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이 네 가지 관점에 따라, 결과분석 및 해석의 과정을 거쳐서 핵심주제를 산출했다. 결론적으로 핵심주제를 말하자면, 역사적 관점에서는 ‘세습’, 현장적 관점에서는 ‘수치심’, 사회적 관점에서는 ‘천시’, 기능적 관점에서는 ‘악사, 선굿꾼’이다. 그리고 이 용어는 일반인들에 의해 사용되어오다가 학술용어로 널리 쓰이게 되었지만, 정작 무악 당사자들은 쓰지 않았다.-
dc.format.extent32-
dc.title경기 도당굿 ‘화랭이’ 개념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dc.title.alternativeEthnographic study on concept of hwaraengi in Kyŏnggi todanggut-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악원논문집, no.25, pp 87 - 118-
dc.identifier.kciidART00167327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18-
dc.citation.number25-
dc.citation.startPage87-
dc.citation.title국악원논문집-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Kyŏnggi todanggut-
dc.subject.keywordAuthorhwaraengi-
dc.subject.keywordAuthorcontempt-
dc.subject.keywordAuthorhereditary-
dc.subject.keywordAuthorshame-
dc.subject.keywordAuthor경기 도당굿-
dc.subject.keywordAuthor화랭이-
dc.subject.keywordAuthor천시-
dc.subject.keywordAuthor세습-
dc.subject.keywordAuthor수치심-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Cand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Performing Arts and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