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모형오-
dc.date.accessioned2021-06-18T11:42:52Z-
dc.date.available2021-06-18T11:42:5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issn1976-352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6475-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징을 장단과 리듬형, 음계와 선법으로 나눠 분석한 글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자료는 2006년 8월, 2007년 2월․3월․8월, 2009년 1월, 2010년 2월에 걸쳐조사된 9개 군, 13개 마을, 49명의 제보자로부터 조사된 201편의 전래동요이다.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장단은 2소박 4박자 장단이 11.4%, 2소박 혼박자 장단이 1%, 3소박 4박자 장단이 75.1%, 3소박 5박자 장단이 0.5%, 3소박 혼박자 장단이 3.5%로 나타났고, 일정한 박자를 지니지 않은 노래가 8.5%의 분포를 보인다. 3소박 4박자 장단(12/8박자)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4음절로 시작되는 노래와 조작유희요에서는 2소박 장단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3소박 4박자 장단이 한국전래동요의 일반적인 양식이긴 하지만, 사설의 율격이나 가창행위에 따라 2소박 장단이 출현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라남도 전래동요는 한 장단에 5음절에서 14음절까지 배속되고 있으며 사설 수가 많아짐에 따라 박을 확대시키며 리듬형을 형성한다. 사설의 율격에 따른 리듬형을 분석한 결과 32개의 율격에따라 139개의 리듬형이 발견되고 있다. 전래동요의 리듬형은 우리말이 음악적으로 표현되는 일차적인 형태로 아동음악교육에서 리듬교육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전래동요의 음계와 선법에 대한 논의는 기존 민요연구에서 적용된 방법에 의하기보다 언어의 중심음인 ‘본디음’을 기준으로 음보말과 행말에서 선율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3음 음계의 전래동요에서는 언어적인 요구조건에 따라 선율이 형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계는 말노래 형태에서 4음 음계에 걸쳐 12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며,선율형은 12가지 음계에 걸쳐 111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4음 음계의 전래동요에서는 육자배기토리가 지배적이며, 경토리의 영향을 받은 노래가 일부 발견된다. 전라남도 전래동요에서는 최저음에서 본디음으로 완전4도 상행하며 시작되는 형태가 많고, 종지음은 본디음인 경우가 지배적이다. 음보말 휴지와 행말 휴지는 본디음에서 동도 진행하는 경우와,완전4도 하행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전래동요는 한국인이 이 땅에 태어나 최초로 표현한 음악적 결과물이다. 전래동요의 음악양식은 우리말이 지닌 율격과 운율․억양이 내재되어 있으며, 지역 민요의 토리의 핵심음으로 구조화된다. 이러한 전래동요의 음악양상을 지역별로 파악함으로써 한국전래동요의 다양성과 전통성을 확인할 수 있을것이며, 그 결과를 통해 한국음악교육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회복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dc.format.extent46-
dc.publisher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dc.title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Musical Style Jeollanam-do Tradition Childern’s Song-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악교육연구, v.5, no.1, pp 55 - 100-
dc.identifier.kciidART001528241-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00-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55-
dc.citation.title국악교육연구-
dc.citation.volume5-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tradition childern’s song-
dc.subject.keywordAuthorJeollanam-do-
dc.subject.keywordAuthormusical style-
dc.subject.keywordAuthormusical mother tongue-
dc.subject.keywordAuthormusic education.-
dc.subject.keywordAuthor전래동요-
dc.subject.keywordAuthor전라남도-
dc.subject.keywordAuthor음악양식-
dc.subject.keywordAuthor음악적 모국어-
dc.subject.keywordAuthor음악교육-
dc.subject.keywordAuthor육자배기토리-
dc.subject.keywordAuthor경토리-
dc.subject.keywordAuthor장단-
dc.subject.keywordAuthor리듬형-
dc.subject.keywordAuthor음계-
dc.subject.keywordAuthor선법-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Cand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Korean musi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