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동복지의 국가별 접근유형에 관한 비교연구: 북유럽·미국·일본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병훈-
dc.contributor.author류만희-
dc.date.accessioned2022-03-25T01:40:26Z-
dc.date.available2022-03-25T01:40:26Z-
dc.date.issued2002-12-
dc.identifier.issn1598-4133-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5684-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에서는 북유럽 국가(스웨덴과 노르웨이), 미국,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노동복지에 대한 국가별 정책적 접근유형을 비교하고 있다. 스웨덴 노르웨이는 강력한 노동조합운동의 정치적 영향력과 사민당 정부의 보편주의적 사회복지정책기조를 배경으로 제한적인 비중의 민간 기업복지 조차 국가복지로 '도약' 하여 수렴됨으로써 국가 복지 수렴형의 노동복지체제로 특징지을 수 있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에는 실리주의노선의 노동조합운동 전통과 국가복지 확대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인 정책입장 등으로 인해 민간 기업복지 중심의 시장의존적인 노동복지체제, 즉 기업들의 시장지배력에 연동되어 노동자들에 대한 부가급여의 제공수준이 결정되는 기업복지 주도형의 복지모델이 고착화되어 왔다. 그 결과, 스칸디나비아국가에서는 노동자계층 내부의 복지차는 원천적으로 억제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미국에서는 이러한 노동복지의 격차문제가 방치되거나 오히려 확대되는 것을 정책적으로 조장하기까지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전후 경제성장연대의 기간에는 민간 기업복지 중심의 노동복지체계가 구축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복지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보장체계의 점진적 확대적용을 통한 법정화된 기업복지의 비중 증대와 중소기업근로자복지 서비스센터에 대한 설립 및 운영의 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준공공복지의 영역이 확대되어 취약한 국가복지를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글의 결론에서는 일본의 준공공복지 보완모델이 국내 노동자계층내부의 복지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언하고 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compares and classifies national policy approaches to labor welfare among Northern European States(i.e. Sweden and Norway), US, and Japan. In Sweden and Norway, the labor welfare regime is categorized as the "state welfare-convergency" model, in that the limited private company welfare has been frog-leaped and converged into the public state welfare against the backdrop of labor union's strong political influence and the SDP-led government's univeralistic welfare policy. By contrast, the "private company welfare-driven" model, in which the level of welfare compensation,given to workers,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market power of companies,has been forged in the US, because of the tradition of business unionism and the government's inactive position on the expansion of public state welfare .As a consequence, the welfare gap in the working class has to a large extent been constrained in those Scandinavian countries, whereas the discrepancy oflabor welfare in the US has been taken for granted and even widened by the government's policy to encourage the diffusion of private welfare packages. In Japan, where the private company welfare-dominated model was formed during the post-war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the semi-public welfare system has since 1980s been expanded by assisting the weak state welfar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to gradually increase companies' legal contribution of social welfare and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on-government labor welfare service centers for workers of small-sized companies. It is suggested as a conclusion that the "semi-public welfare-aided" model, illustrated in Japan, need to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policy approach for resolving the widening discrepancy of labor welfare among workers in Korea.-
dc.format.extent27-
dc.publisher한국산업노동학회-
dc.title노동복지의 국가별 접근유형에 관한 비교연구: 북유럽·미국·일본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National Patterns of Labor Welfare Policy-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산업노동연구, v.8, no.2, pp 171 - 197-
dc.identifier.kciidART00088395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97-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71-
dc.citation.title산업노동연구-
dc.citation.volume8-
dc.identifier.url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996174-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