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튜브 영상 속 장애인 재현에 대한 내용분석 - 생산자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The Representation of Disabled People on YouTube - Differences by the Type of Producers

Authors
최재현이숙정
Issue Date
Nov-2022
Publisher
한국방송학회
Keywords
유튜브; 장애 모델; 미디어 재현; 정형화; 타자화; YouTube; disability model; media representation; stereotyping; othering
Citation
한국방송학보, v.36, no.6, pp 203 - 240
Pages
38
Journal Title
한국방송학보
Volume
36
Number
6
Start Page
203
End Page
2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9552
DOI
10.22876/kab.2022.36.6.006
ISSN
1229-025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관련 유튜브 동영상을 분석하여 유튜브 공간에서 장애인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장애 이론 모델과 미디어의 장애인 재현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튜브 생산자 유형별 장애인 재현의 차이를 분석했다. 조회 수 상위 200개의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 관련 동영상을 제작한 생산자 유형별 비중은 유튜브 전용 채널(42.5%), 방송사 및 언론사(33.5%), 장애인 유튜버(14.5%), 공공기관(9%) 순으로 나타났다. 생산자 유형에 따라 제작 의도, 장애인 이미지 전형, 섬네일과 제목의 소구 방식, 연출 기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방송사 및 언론사는 장애인과 주변인의 실제 이야기를 활용하여 장애인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부각하거나 장애인을 피해자의 이미지로 묘사하여 이용자의 동정 심을 유발하려는 영상을 주로 제작했다. 유튜버 전용 채널에서는 장애인을 의존자, 동등한 이웃, 피해자의 이미지로 주로 묘사하는 한편, 장애인을 비장애인의 반응을 관찰하는 사회실험 콘텐츠의 실험 조건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장애인 유튜버는 비장애인과 다를 바 없는 일상의 모습과 현실에 도전하는 능동적 주체의 모습을 주로 보여주었다. 공공기관은 객관적 자료를 활용하면서 장애 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영상을 제작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방송사 및 언론사와 유튜브 전용 채널이 장애인을 도구화, 정형화, 타자화하는 영상이 다수 생산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장애인 유튜버는 장애인을 긍정적 정체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 존재로 드러내는 영상을 제작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o produced Youtube video clips about disabled people and how different media representation was by the type of producers. The video clips that ranked top 200 in number of views were analyzed through a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YouTube-dedicated channels produced 42.5% of the total video clips; the existing mass media including broadcasters and newspapers produced 33.5%; YouTubers with disabilities produced 14.5%; and public institutions produced 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 representation of disabled people by the type of producers. The broadcasters and newspapers on YouTube represented the disabled as victims while highlighting the adverse of disabled people through real episodes. YouTube-dedicated channels produced reaction videos that demonstrated the non-disabled’s reaction toward the disabled and portrayed disabled people as dependents. YouTubers with disabilities mainly presented their identity equal to other peoples through their daily lives and challenging experiences. The public institutions produced videos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public awareness of disabled peopl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disabled on YouTube video clips included instrumentalization, stereotyping, and othering, while disabled people could present their identity and daily lives with autonomy on YouTub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ook Jung photo

Lee, Sook Jung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