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략적 팀경영과 팀의 외향성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주희-
dc.date.accessioned2023-01-25T02:41:22Z-
dc.date.available2023-01-25T02:41:22Z-
dc.date.issued1998-06-
dc.identifier.issn1226-8437-
dc.identifier.issn2733-970X-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0010-
dc.description.abstract연구의 목적은 팀의 외향성과 팀경영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제조업체의 작업팀을 대상으로 하여 작업팀의 성격과 팀경영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으므로 기존의 실험실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연구 결과에 대한 일반화의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작업팀의 성과 결과를 팀에 대한 인센티브와 연계시키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P기업의 생산기술직을 선정하여, 총 59개 팀의 375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 연구에서 설계한 5요인 팀경영 모델-의사소통의 개방성, 작업 몰입, 자율화, 팀 응집력 및 팀웍의 5요인 모델-은 측정모델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둘째로, 팀에 외향적인 팀원이 너무 많아지면 오히려 팀경영은 저해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팀외향성이 높아지는 것이 팀경영의 일부 요소(의사소통의 개방성 및 팀 응집력)와는 정의 관계를 보이는 반면 또 다른 요소(작업 몰입 및 팀웍)와는 부의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팀내에 외향적인 팀원이 20~40%일 때 전반적인 팀경영이 가장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음은 최근 팀조직 또는 팀경영을 통해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려는 기업에게 팀원의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abstractUsing the five-factor team management model composed of: open communication, task involvement, self-autonomy, team cohesion, and teamwork, the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extraversion and team management. Team members(n=375) assigned in 59 teams were administer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nair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test,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t the team level, the proportion of relatively extraverted members was related curvilinearly to general team management and task involvement. Secondly, the larger team extraversion is positively related to open communication and team cohesion, while it is negatively related to task involvement and team work. Finally, a clear inverted U relationship emerged for general team management, with teams having 20% to 40% high-extraversion members with either fewer or more such member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eam extravers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ing how personality traits influence team processes and that team management may suffer if selection mechanisms overemphasize extraversion as a favorable team member attribute.-
dc.format.extent25-
dc.publisher한국전략경영학회-
dc.title전략적 팀경영과 팀의 외향성-
dc.title.alternativeStrategic Team Management and Team Extraversion-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전략경영연구, v.1, no.1, pp 23 - 47-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47-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3-
dc.citation.title전략경영연구-
dc.citation.volume1-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693078-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domestic-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hn, Juhee photo

Hahn, Juhee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