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민문학 시대, 오영진 작품의 민족주의적 정체성-<배뱅이굿>과 <맹진사댁 경사>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명진-
dc.contributor.author민선희-
dc.date.available2019-03-08T11:37:4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229-7429-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061-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오영진의 해방전 시나리오 &lt;맹진사댁 경사&gt;, &lt;배뱅이굿&gt;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작품에 내제된 오영진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오영진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부터 오영진과 전통에 대한 논의는 매우 긴밀한 연관을 맺어 왔다. 이는 그를 민족주의적 작가로 정의하고 그 정체성을 전통계승과 재창조의 측면으로 한정해 왔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친일담론에 대한 선입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00년 이후의 논의들은 전통에 대한 담론과 일본의 제국주의적 정책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단선적이었던 이전의 민족주의적 논의들을 보다 예리하게 확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논의들도 두 작품에 내제된 근대적 징후들을 여전히 간과했다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오영진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은 무엇보다도 기독교 민족주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지금까지 그의 민족주의적 자질에 부가해 왔던 전기적인 사실이나 성장과정, 그리고 장르, 그의 관심과 열정의 대상은 모두 서구의 근대적 관념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모더니티의 산물들이다. 무엇보다 서북지방을 중심으로 한 부르주아 상인들의 청교도적 의식이 강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성과 진보, 자유와 전근대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내포한다. 따라서 일제말 즉 국민문학 시대 일본이 추구했던 동양적 세계와 서구의 근대적 세계의 대립 구도 속에서 그의 작품의 심층적 주제 의식은 후자를 지향하고 있다. 전자의 세계에 대한 부분적인 동의가 최재서의 신지방주의에 의해 표명되는데, 두 작품이 보여 주고 있는 반전통적이며, 기독교적 의식의 징후들은 조선의 로컬리티를 내세운 동양적 전통 혹은 보존․계승적 전통과 밀접한 최재서의 방법론과 결을 달리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식민지 시대 근대성에 대한 논의는 근대화에 대한 조선의 주체적인 측면이 식민지근대화에 대한 거부감에 의해 축소되고, 동시에 친일담론과의 예민한 논쟁성에 빠질지 모르는 위험성에 대한 무의식적 회피로 인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 지지 못했다. 오영진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에 대한 단선적 논의들의 한계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전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재창조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오영진의 작품에 대한 전통과 민족주의적 논의들의 궁극적 목적은 이것의 해명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 또한 그와 동일하다. 다만 오영진의 해방전 작품 속에서 전통은 그 자체로 하나의 목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창조적 전통을 위한 기표로서 작용하고, 기독교와 근대적 의식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시대적 이상과 관념을 반일적인 맥락속에서 제시했다는 데서, 그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의 본질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examine Oh Young Jin’s nationalistic identification in the scenarios in &lt;Bebengie Mourning&gt;, &lt;Festivity of the Maeng family&gt;. It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early investigations of Oh Young Jin and previous discussions about tradition. This connection has resulted in Oh Young Jin being regarded as a nationalist author,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writer is limited to traditional inheritance and recreation. This appears to be affected by the prejudice of his pro-Japanese discourse as well. Some of the discussions about the writer after 2000 have been expanded to other interpretations; however, those discussions also suffered from a limitation due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modernism symbolism in his works. Oh Young Jin’s nationalism is based on Christian-Nationalism Philosophy. His biography, life, the genre of his works, his concerns, and his passions are the consequences of the modernity that was based on modern western ideologies. In addition, Western modern ideas&apos; had greatly influenced his works. More than anything, there was a strong influence from the puritan concept of bourgeois merchants who lived in northwest Korea. This influence includes rationality, progression, liberty, and a critical attitude against pre modernism. Consequently, the thematic consciousness was directed to western modernity, which was the opposite of the Eastern ideologies of Japan. Choe Jae Seo appropriated the aim of Japan. Therefore,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uthors. The scarcity of discussions on modernity in the colonial era was caused by the diminution of the independence of Cho-sun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the evasion of pro-Japanese discourse. The limited discussions on Oh Young Jin’s nationalistic identification can be explained with the same reason. However, tradition should not remain fixed, it should be newly recreated. As such, the ultimate goal, including that of the study, for discussing about Oh Young Jin’s tradition and nationalism is, at all times, to focus on their clarification. However, his tradition(based on his works before independence from Japan) is not studied as an isolated specimen. Instead, this tradition serves as a signifier for a new creative tradition. Furthermore, I study the new era ideal and idea based on Christian and modern consciousness, in an anti-Japan context. Finall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we consider the essence of his nationalistic identification from this study.-
dc.format.extent44-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우리문학회-
dc.title국민문학 시대, 오영진 작품의 민족주의적 정체성-&lt;배뱅이굿&gt;과 &lt;맹진사댁 경사&gt;를 중심으로-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0864/skl.2017.01.53.2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우리문학연구, no.53, pp 209 - 252-
dc.identifier.kciidART00219466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252-
dc.citation.number53-
dc.citation.startPage209-
dc.citation.title우리문학연구-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Nationalism-
dc.subject.keywordAuthorChristian Nationalism-
dc.subject.keywordAuthorNational Literature-
dc.subject.keywordAuthorPro-Japanese Discourse-
dc.subject.keywordAuthorModernity-
dc.subject.keywordAuthorNew localism-
dc.subject.keywordAuthor&lt;Bebengie Mourning&gt;-
dc.subject.keywordAuthor&lt;Festivity of the Maeng family&gt;-
dc.subject.keywordAuthor민족주의-
dc.subject.keywordAuthor기독교 민족주의-
dc.subject.keywordAuthor국민문학-
dc.subject.keywordAuthor친일담론-
dc.subject.keywordAuthor모더니티-
dc.subject.keywordAuthor신지방주의-
dc.subject.keywordAuthor&lt;맹진사댁 경사&gt;-
dc.subject.keywordAuthor&lt;배뱅이굿&gt;-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Myeong Jin photo

Park, Myeong Jin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