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변량토빗모형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현정-
dc.contributor.author오현석다라-
dc.date.available2019-03-08T13:59:0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sn1598-8651-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580-
dc.description.abstract[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유․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 장르별 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14 문화향수실태조사’이며, 한 명의 소비자가 하나의 문화예술장르에 국한되어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부문을 소비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변량토빗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추정 결과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청소년기에 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관람횟수가 모든 장르에 걸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술전시회, 서양음악, 연극/뮤지컬의 경우에는 유․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거나 두 시기 모두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관람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1년 간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영화를 제외한 모든 장르의 관람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자본임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장기적인 측면에서 문화예술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어린 시절에 문화자본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abstract[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childhood(3-12) and youth(13-18) on the consumption of cultural arts products. [Methodology]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various cultural arts products, a multivariate tobit model was incorporated to the data of ‘2014 National Investigation on Realities of Cultural Enjoyment’. [Findings]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 number of viewing of those who have educ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n-experience for all genres of cultural ar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rt exhibitions, classical music, and theater/musicals, those who have experienc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at childhood and/or youth enjoy relatively more of the cultural arts product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last year is proven to be a factor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viewing all genres of cultural arts products, except for cinema. This suggests that experience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an important cultural capital. [Implications]Our results indicate that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at childhood through experie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demand for arts and cultural products.-
dc.format.extent23-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경영교육학회-
dc.title다변량토빗모형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3839/kabe.2016.31.6.20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경영교육연구, v.31, no.6, pp 203 - 225-
dc.identifier.kciidART00218707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225-
dc.citation.number6-
dc.citation.startPage203-
dc.citation.title경영교육연구-
dc.citation.volume31-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Cultural capital-
dc.subject.keywordAuthorArts and culture education-
dc.subject.keywordAuthorConsumption of cultural arts prodcuts-
dc.subject.keywordAuthorMultivariate tobit model-
dc.subject.keywordAuthor문화자본-
dc.subject.keywordAuthor문화예술교육-
dc.subject.keywordAuthor문화예술 소비-
dc.subject.keywordAuthor다변량토빗모형-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in, Hyun Joung photo

Jin, Hyun Joung
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