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김승옥 소설 「서울의 달빛 0장」의 심리 기제와 미적 모더니티 연구 - 소설의 형식과 사회 구조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관-
dc.date.available2019-03-08T14:36:59Z-
dc.date.issued2016-11-
dc.identifier.issn1598-8457-
dc.identifier.issn2508-455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759-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김승옥의 소설 「서울의 달빛 0장」(1977)을 대상으로 사회 구조에 대응하는 텍스트의 미적 구성 방식을 고찰하여 소설 형식의 사회적콘텍스트를 구명하고, 텍스트에 내재적인 양태로 표현된 사회적 의미와소설적 가치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모방 욕망의 심리 기제’, ‘멜랑콜리(melancholy)적 증후’, ‘알레고리(allegory)적 기호’는 이 소설이‘교환가치에 의한 매개’와 ‘사물화 현상’이 심화된 근대 자본주의 사회구조를 드러내고 이와 대응한 구성 방식이자 미적 모더니티의 표현 형식이다. 논문은 이들 표현 형식이 텍스트 속에 구조화되어 나타나는 기능과의미를 파악하여 소설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몰두했다. 「서울의 달빛 0장」을 구성하는 ‘모방 욕망’의 심리 기제는 70년대 사회가 발생시킨 교환가치에 의한 매개 현상이 소설 속에서 ‘간접화된 욕망추구 방법’으로 치환된 것이다. 소설 속에서 주인공의 욕망을 훼손시켜타율적이고 간접화된 방향으로 이끌고 있는 것은 당시의 물신화된 사회에 만연된 교환가치의 영향력이다. 교환가치가 가상의 질을 진정한 가치로 위장하여 교묘하게 향유의 대상으로 탈바꿈함으로써 주체의 자율성을유린하듯이, 소설 속에서 타인에 의해 부추겨진 매개된 욕망은 허구의 대상에 몸달게 하여 주인공의 인격과 주체성을 붕괴시킨다. 그러나 여기서텍스트는 역설적으로 소설적 가치를 생산한다. 비록 주인공의 욕망 구조는 자율적인 것이 아니고 매개되어 있다는 점에서 여타 타락한 속물들과동일하게 물화된 세계의 사회 구조를 모방하고 있지만, 그가 희생당하면서 얻어지는 모순 인식을 통해서 시대 및 사회의 성격과 콘텍스트를 깨닫게 한다. 한편, 「서울의 달빛 0장」의 서사 구조는 아내의 매춘으로 충격 받은주인공의 ‘멜랑콜리’적 증후를 통해 욕망과 쾌락의 소비가 교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환류하며 인격이 분열적으로 타락해가는 사회의 모습을‘알레고리’적 사유와 이미지로 포착하면서 전개된다. 이혼한 아내에 대한욕망과 증오가 교차되며 펼쳐지는 주인공의 내적독백 전체는 70년대 한국사회의 물신화 현상과 윤리적 가치의 붕괴, 정치적 불안과 종말의식에대한 우울한 알레고리가 된다. 멜랑콜리적 증후가 구성하는 파편화된 알레고리적 비유의 세계와 교환가치와 상품 물신성이 구성하는 자본주의적세계 그리고 이데올로기 투쟁이나 전쟁의 외상이 구성하는 의미 전도의세계가 구조적인 상동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처럼 멜랑콜리적 작가는 자본주의 사회 전반에 덧씌워진 물신성을 우울히 통찰하고 그것을 파편화된 형상 기호로 표현함으로써, 부조리한 세계의 은폐된 불의를 알레고리를 통해 드러내고 비판한다. 그러나 교환가치에 의한 매개와 사물화가 과도하게 심화된 사회에서는 점차 알레고리적 주체가 지배적 가치들에 강력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소설의 주인공은 속물들과 동류가 되어 알레고리적 주체로서의 역설적 존재감을 소멸시킨다. 그러나 독자는주인공의 실패를 시대에 놓인 소설적 진실로 받아들여야 한다. 오늘날의세계에서는 주체의 왜소화나 소멸이 또한 사회에 대한 미메시스(mimesis) 이자 사회를 인식하는 알레고리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서울의 달빛 0장」은 기존의 소설이 주인공에게 기대했던 낭만적 환상을 걷어내고 ‘모방 욕망’의 심리 기제와 ‘알레고리’ 형식을 통해 작가와독자와 소설의 주인공을 시대 및 사회와 함께 하나로 지목함으로써 사회적 의미와 소설적 가치를 얻는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going along with the purpose of illuminating the social meaning which is expressed as the immanent aspect in the text and the novelistic valu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form in Kim, Seung ok’s novel Chapter 0 under the moonlight of Seoul. ‘Imitation of another’s desire’, ‘melancholy’ and ‘allegory’ become the important aesthetic forms which the novelist uses for expressing the social structure of the 1970s with the deepened materialistic phenomen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imitative desire which constitutes Chapter 0 under the moonlight of Seoul replaces the intermediate Phenomenon by the exchange value which the society of the 1970s generates with the indirect pursuit method of the desire in the novel. In the novel, the thing which damages the hero’s desire and leads into heteronomous and indirect direction is the influence of the sign of the exchange value which is rampant in those fetishistic days. Meanwhile, the narrative structure of Chapter 0 under the moonlight of Seoul unfolds the picture of the society of the 1970s which the consume of the desire and pleasure feeds back and becomes corrupt in the commutation relationship catching the allegorical thought and image through hero’s melancholic symptom. All the hero’s interior monolog which spread out in the novel being crossed by desire and hatred of his divorced wife are the groomy allegory for the fetishistic phenomenon and the erosion of the value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1970s. Chapter 0 under the moonlight of Seoul skims off the romantic illusion which the existing novel looks forward to the main character, and gets the social meaning and novelistic value by pointing out the author, reader and the novel’s hero with the era and society as one through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imitative desire and the ‘allegory’ form.-
dc.format.extent40-
dc.publisher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dc.title김승옥 소설 「서울의 달빛 0장」의 심리 기제와 미적 모더니티 연구 - 소설의 형식과 사회 구조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dc.typeArticle-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인문과학, no.63, pp 281 - 320-
dc.identifier.kciidART002172376-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320-
dc.citation.number63-
dc.citation.startPage281-
dc.citation.title인문과학-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Exchange value-
dc.subject.keywordAuthorfetish-
dc.subject.keywordAuthorintermediation-
dc.subject.keywordAuthorimitation of desire-
dc.subject.keywordAuthorallegory-
dc.subject.keywordAuthormelancholy-
dc.subject.keywordAuthor교환가치-
dc.subject.keywordAuthor물신성-
dc.subject.keywordAuthor매개-
dc.subject.keywordAuthor욕망의 모방-
dc.subject.keywordAuthor알레고리-
dc.subject.keywordAuthor멜랑콜리-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ng Kwan photo

Kim, Jung Kwan
교양대학 (교양대학)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