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역과거주 공간 확대에 대한 연구 - 가리봉동・구로동・대림동을 중심으로 -In - Depth Study for the Cause of Formation of Korean - Chinese Ethnic Cluster in Seoul and for the Living Space Expansion

Authors
박재영강진구
Issue Date
Oct-2016
Publisher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Keywords
Korean-Chinese; overpopulated area; residential district; Garibong-dong; Guro-dong; Daelim-dong; 조선족; 밀집지역; 거주 공간; 가리봉동; 구로동; 대림동.
Citation
탐라문화, no.53, pp 255 - 290
Pages
36
Journal Title
탐라문화
Number
53
Start Page
255
End Page
2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882
DOI
10.35221/tamla.2016..53.009
ISSN
1226-5306
Abstract
2015년 11월 현재 약 186만 명의 외국인이 국내에 거주하고 있으며 한국사회는 급격하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국내 거주 중국동포는 615,000명으로 전체 외국인 중에서 33%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 중 약 70% 이상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현재 가리봉동, 구로동, 대림동 등에는 중국동포 중심의 상업가로가 형성되고 있으며, 광진구 자양동, 신림동, 구리시 등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중국동포들이 특정 지역에 상업가로를 형성하였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동포 사회의 밀집도와 거점화가 강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지역별로 주민과 중국동포 사이의 갈등이 커지고 있고, 중국동포 내부 또한 분화하여 여러 갈등 양상을 표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중국동포 관련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문헌조사・심층면접(인터뷰)・참여관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서울시 중국동포 밀집지역의 형성 원인과 거주 공간의 확대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거주 타 외국인과 달리 중국동포들은 특수한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그들을 환대하기보다는 불편한 눈초리로 바라보고 있다. 한국인과 중국동포들이 공존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호 인식에 대한 변화와 함께 중국동포에 대한 법적・행정적인 토대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 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동포들이 자신들만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주로 그 안에서만 삶을 영위한다는 점은 그들이 한국 사회에 순조롭게 통합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양상이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면 국내 거주 중국동포들은 자신들을 향한 한국인들의 차별과 편견에 대해 좌절과 분노 그리고 불평등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는 장차 프랑스를 비롯한 선진 다문화 제국이 경험했거나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갈등이나 불안 요소로 발전할 가능성을 내포한 것이기도 하다.
There are approximately 1.86 mill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in November 2015, and Korea enters radically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foreigners who lives in Korea, the Korean-Chinese (Chaoxianzu) have around 33%(615,000), and their places of residence focuses mainly on the area of Seoul and capital area such as Garibong-dong, Guro-dong, Daelim-dong. There forms a commercial district for Korean-Chinese, and it expands into the area such as Jayang-dong, Shinlim-dong, Guri-si. As the high crowding and basement of Korean-Chinese society grows stronger, as we may see the formation of commercial district such a wide area, there shows various aspects of conflict such as growing conflicts between the natives and Korean- Chinese or inner circle among Korean-Chinese. Therefore in the research, we try to overcome the limit of precident study for Korean- Chinese, and we proceed the methods like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study for the cause of formation of Korean-Chinese ethnic cluster in Seoul and for the living space expansion. Different from other foreign residents, Korean-Chinese has the peculiar historical background. But we Koreans watches them with uncomfortable uncomfortable eyes, far from welcoming them. It is important to attract the change of perception, but the essential prerequisite is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formation for them. As the result shows, the point that Korean-Chinese forms their own network and live in their own inner circle is the evidence of not smooth consolidation for Korean society. If the situation of those problems went longer, Korean-Chinese who lived in Korean society could feel the discrimination, prejudice, failure, anger and inequality, and it may expand into the social disturbance, violence, and terrorism as the multicultural society like Franc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