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놀로지 기반 디지털 캠페인 참여형 UI 디자인 연구A study on the Participatory UI Design of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s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UI Design of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s
- Authors
- 신예진; 김성훈
- Issue Date
- Oct-2021
- Publisher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Keywords
- 디지털 캠페인; 퍼놀로지; UI 디자인; Funology; Digital Campaign; UI Design
- Citati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77, pp 611 - 622
- Pages
- 1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Volume
- 77
- Start Page
- 611
- End Page
- 62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08157
- DOI
- 10.25111/jcd.2021.77.42
- ISSN
- 1976-1562
- Abstract
- 현대 사회는 기술의 발전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것들이 디지털화되고 이와 연대적으로 현대 사회의 사용자들은 정서적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퍼놀로지 기반의 디지털 캠페인은 신속하게 진보하는 기술과 펀(Fun) 아이디어의 융합으로 다양한 디지털 공간에서 감각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들의 니즈와 가치를 충족시키는 마케팅으로 적합하며 디지털 공간에서 사용자들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참여형 UI 디자인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퍼놀로지 기반 디지털 캠페인에 참여할 때 디지털 공간에서 유희적 감성 유발과 적극적 참여를 위한 퍼놀로지 기반의 디지털 캠페인의 참여형 UI 디자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퍼놀로지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디지털 캠페인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참여형 UI디자인의 요소들을 정리하고 공통된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에 적용할 퍼놀로지 기반 디지털 캠페인을 사용자 체험유형(수용적 체험/참여적 체험/주도적 체험)으로 나누어 참여형 UI디자인 3가지 요소로 디자인 요소(레이아웃/컬러/그래픽/텍스트), 기술 요소(일관성/가시성/단순성), 사용자 요소(흥미성/정보성/관계성)를 분석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내용을 통해 사용자 체험유형에 따른 국내외 실시된 퍼놀로지 기반 디지털 캠페인의 3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든 체험유형에서 디자인 요소인 ‘텍스트’를 이용하여 참여 독려와 행동을 유도하였고 캠페인 체험 시 사용방법, 맥락에 있어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기술 요소인 ‘일관성’, 캠페인의 의도나 아이덴티티의 구축하는 사용자 요소인 ‘정보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사용자가 캠페인을 수용적 체험일수록 디자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났고 반면에 사용자 요소는 약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용적 체험에서 사용자 요소인 ‘관계성’과 주도적 체험에서 ‘레이아웃’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세 번째, 디자인과 기술의 질(quality)과 보상(Feedback)을 나타내는 ‘가시성’이 모든 유형에서 미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디지털 공간에서 사용자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와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유희적 감성을 유발시키고 의미 있는 경험을 창출을 위해선 퍼놀로지 기반 디지털 캠페인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참여형 UI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everything we encounter in our daily life is being digitalized, and users in modern society respond sensitively to how they feel emotionally. The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 of that era is suitable as a marketing that meets the needs and values of users who want to receive a sensible service in a variety of digital spaces due to the convergence of the rapidly advancing technology and the fun idea, and the participatory UI design is required for smooth interaction of users in those digital spac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development plan for the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s participatory UI design to induce users’ enjoyable emotions and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digital spaces when they participate in the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 First of all, it consid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 of funology and examined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the digital campaign. In addition, it derived common elements by organizing the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UI design. Based on this, it divided the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 to be applied in the study into some user experience types (receptive experience/ participatory experience/ proactive experience) and derived analysis types such as design elements (layout/ color/ graphic/ text), descriptive elements (consistency/ visibility/ simplicity), and user elements (interest/ informativeness/ relatedness) as three elements of the participatory UI design. Based on the derived contents, it selected and analyzed three cases of the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 performed both in the country and abroad according to the user experience typ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encouraged participation and induced actions by using the ‘text’, one of the design elements, among all experience types, and ‘consistency’, one of the descriptive elements, that is consistent in terms of the usage and context at the time of experiencing the campaign, and ‘informativeness’, one of the user elements that builds the intention or identity of the campaign, were strongly observed. Second, the more receptive the users’ experiences with the campaign, the stronger the design elements and the weaker the user elements. In particular, ‘relatedness’, a user element in the receptive experience, and ‘layout’ in the proactive experience were found to be the lowes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visibility’, which represents the quality and feedback of the design and technology, appeared insignificantly in all the types. Therefore,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UI desig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funology-based digital campaign should continue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attract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users, provide them with various experiences, induce their enjoyable emotions, and create meaningful experiences for them in digital space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