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제공수단 기반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의 BX 영향성 연구A study on the BX impact of mobile service design based on experience providers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BX impact of mobile service design based on experience providers
- Authors
- 김성훈
- Issue Date
- Jan-2022
- Publisher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Keywords
- 경험제공수단;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 브랜드경험; Experience Providers; Mobile Service Design; Brand Experience
- Citati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78, pp 385 - 393
- Pages
- 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Volume
- 78
- Start Page
- 385
- End Page
- 39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2735
- DOI
- 10.25111/jcd.2022.78.28
- ISSN
- 1976-1562
- Abstract
- 본 연구는 모바일 디바이스 컨텐츠들의 사용이 보편화된 현대의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컨텐츠를 활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브랜드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과 경험제공수단, 브랜드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선행연구 및 주요학자들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념을 정립하였다.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에서의 사용자 경험제공수단 유형 및 요소로서 브랜딩 아이덴티티의정체성, 흥미성, 매력성, 정보 커뮤니케이션의 정보 인지성, 직관성, 유용성, 맥락적 접점의 정보 접근성, 과업 편의성, 정확성을 도출하였고, 브랜드경험 차원의 각 요소인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에 미치는 영향성을 분석하였으며, 브랜드만족도 영향성 확인을 위하여 브랜드 애착, 신뢰, 충성에 미치는 브랜드경험 차원의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빈도를 통해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경험제공수단 유형별 정체성과 직관성, 과업 편의성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경험 차원중 감각에서는 흥미성과 정보 접근성이 감성에서는 매력성이 인지에서는 정보 인지성과 정보 접근성이 행동에서는 과업편의성과 유용성이 관계에서는 유용성과 과업 편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만족도 영향성 확인을 위한 브랜드 애착에서는 감성 경험이 브랜드 신뢰에서는 인지 경험이 브랜드 충성에서는 관계 경험의 영향력이 높아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양질의 사용자 경험 창출은 브랜드만족도를 높이는 수단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향후 모바일 컨텐츠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effect of the use of mobile device contents on the satisfaction of brands provid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users using the contents in a modern smart media environment where the use of contents has become as common is researched in this study. The concept wa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sis of major scholars as a theoretical review of mobile service design, experience provision means and brand experience to this end. The identity, interest and attractiveness of branding identity and information awareness, intuition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task convenience and accuracy of contextual contacts were derived as the type and element of user experience provision in mobile service design, and the influence to sense, emotion, recognition, behavior and relationship which are each element of brand experience level was analyzed, and the influence of brand experience level of attachment, trust and loyalty on brand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brand satisfaction. The importance was calculated through the frequency of users using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through the survey as the study method. The importance of identity, intuition and task convenience by the type of experience providing means shown as high, interest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were in sense, attractiveness in emotion, information recognition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in recognition, task convenience and usefulness in behavior and task convenience in relationship shown high among the brand experience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creating a high quality user experience through mobile contents service design is a means to increase brand satisfaction due to the high influence of emotional experience in brand attachment, recognitive experience in brand trust and relationship experience in brand loyalty to confirm brand satisfaction efficienc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user experience in mobile contents design in the future.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