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국 쇼핑 앱의 인터페이스 사용성 개선 방안 제안 - 티몰 앱, 징동 앱, 핀둬둬 앱 중심으로 -open accessSuggestions for Improving Interface Usability of Chinese Shopping Apps - Focused on T-mall app, Jingdong app, and Pindoudou app -

Other Titles
Suggestions for Improving Interface Usability of Chinese Shopping Apps - Focused on T-mall app, Jingdong app, and Pindoudou app -
Authors
주초김민수박경진
Issue Date
May-2023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Keywords
쇼핑 앱; 인터페이스;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 Shopping App; Interface; Heuristic usability evaluation
Citation
한국디자인포럼, v.28, no.2, pp 53 - 62
Pages
1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포럼
Volume
28
Number
2
Start Page
53
End Page
6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3144
ISSN
2233-9205
2586-4777
Abstract
연구배경 현재 중국은 쇼핑 앱과 관련된 많은 앱이 개발되면서 기능·서비스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중국의 쇼핑 앱은 앱 간의 기능·서비스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으며, 이로 인한 유사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경험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차별화 된 시장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사용자 경험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앱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여 이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을 제안해야 한다. 연구방법 해당 분야의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은 세 가지 앱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와 사후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평가 결과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쇼핑 앱 유저의 사용성을 고려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성 분석 결과, 티몰 앱이 사용성이 가장 우수했으며, 특히, 평가 항목 중 일관성, 효율성, 심미성, 조작성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징동 앱은 심미성과 일관성이 뛰어난 반면, 효율성과 명확성, 유연성과 자율성, 도움말 제공의 점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핀둬둬 앱의 경우 사용성이 가장 떨어졌으며, 가시성을 제외한 모든 지표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쇼핑 앱의 인터페이스 설계 시 쇼핑 앱에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항목과 개선되어야 하는 항목을 분석·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국 쇼핑 앱의 사용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Currently, as many apps related to shopping apps are developed in China, functions and services are also diversifying. Meanwhile, Chinese shopping apps do not have a large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functions and services between apps, and the gap in user experience is narrowing due to similarity. In this respect, in order to have differentiated market competitivenes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user experience, and an interface design plan should be proposed considering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use of the app. Methods For 10 experts in that field of the field of those fields in the Chinese market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high shareholders with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evaluation results. Result As a result of usabi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Mall app has the best usability, and in particular, among the evaluation items, consistency, efficiency, aesthetics, and usability scores were high. While the Jingdong app is excellent in aesthetics and consistency, it was found that the scores of efficiency and clarity, flexibility and autonomy, and help provision were poor. In the case of the Pindudu app, the usability was the lowest, and the scores of all indicators except visibility were low.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analyze and grasp the items that must be reflected and improved in the shopping app when designing the interface of the Chinese shopping ap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n interface that considers the usability of Chinese shopping apps in the futur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kyong jin photo

Park, kyong jin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