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 중 일 문화적 특징과 20대 선호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표현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곡위광-
dc.contributor.author송민정-
dc.date.accessioned2023-08-01T06:32:29Z-
dc.date.available2023-08-01T06:32:29Z-
dc.date.issued2022-06-
dc.identifier.issn1738-0863-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3626-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카카오톡, 중국의 위챗, 일본의 라인은 각국의 대표적인 SNS로, 한·중·일의 이모티콘은 문화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모티콘 주요 사용층인 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모티콘 디자인 트렌드와 선호 이모티콘 특징을 분석하여 나타나는 문화 특징을 분석하고 보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한·중·일 SNS 20대 사용자와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표현 이모티콘 1위부터 3위까지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조사로 한·중·일의 이모티콘과 문화 특징을 분석하고 20대 사용자의 사회적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실증 조사로 카카오톡, 위챗, 라인 이모티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한·중·일 20대 설문조사로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표현 이모티콘을 선정하고, 다속성 비교분석하여 평가 검증한다. 연구결과, 한국은 포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형성은 비교적 낮았으며 재미를 중시하는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유추된다. 중국은 상형성이 높게, 창의성은 낮게 나타났으며 용두모자[虎头帽] 등 중국 문화 요소가 드러났다. 일본은 즉시성이 높게, 포용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모티콘에서 일본의 서브컬처(Subculture) 스타일이 나타났다. 한국의 이모티콘은 정확한 감정표현 부분에서 개선하여 본분의 감정 전달 보조 역할 보완이 요구되며 필요하다. 중국은 넓은 이모티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이모티콘의 재미와 의미 전달을 명확히 하여 사용자의 사용 욕구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이모티콘의 경우 타 콘텐츠 캐릭터의 이모티콘 제작을 줄이고 이모티콘이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표로 삼고 발전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중·일 3개국 이모티콘 디자인 아이디어와 제작에 필요한 디자인 전략을 구축함으로써 향후 이모티콘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representative SNSs of each country are kakao talk in Korea, WeChat in China, and online in Japan.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bjectiv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preferences of emoji design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moji design, focusing on users in their twenties, who are the main users of emoji, and to improve. The target is the top three emojis of joy, sadness, anger and surprise in three countries. Metho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mojis were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users in their 20s were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mojis were analyzed. Result Korean emojis are more inclusive and less pictorial. China emojis have greater pictoriality but less creativity. Japan has greater immediacy but less inclusiveness. Conclusion Korean emojis must better portray emotion. The China emojis should be fun and meaningful. Fewer anime-themed Japanese emojis are needed. It will help develop the emoji design business by creating design strategies.-
dc.format.extent14-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dc.title한 중 일 문화적 특징과 20대 선호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표현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Analysi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moticon Design Preferred by 20-somethings - Centered On Expressions Of Joy, Sadness, Anger, And Surprise --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18852/bdak.2022.20.2.9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브랜드디자인학연구, v.20, no.2, pp 93 - 106-
dc.citation.title브랜드디자인학연구-
dc.citation.volume2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93-
dc.citation.endPage106-
dc.type.docType정기학술지(Article(Perspective Article포함))-
dc.identifier.kciidART002850567-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20대 트렌드, 문화적 특징-
dc.subject.keywordAuthor선호 이모티콘 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20-Something Trend-
dc.subject.keywordAuthorCultural Characteristics-
dc.subject.keywordAuthorPreferred Emoticon Designs-
dc.identifier.urlhttps://www.earticle.net/Article/A414750-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MIN JUNG photo

SONG, MIN JUNG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