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대올림픽 심벌마크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Olympic Symbol and National Symbol -Focused on Victor Turner’s Symbolic Theory-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Olympic Symbol and National Symbol -Focused on Victor Turner’s Symbolic Theory-
Authors
손위송민정
Issue Date
Sep-202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Summer Olympics(근대올림픽); 빅터 터너(Victor Turner); Symbol Mark(심벌마크); Symbolism(상징기호)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8, no.3, pp 194 - 203
Pages
1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8
Number
3
Start Page
194
End Page
20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3750
DOI
10.18208/ksdc.2022.28.3.193
ISSN
1598-6497
Abstract
하계올림픽은 90년의 역사를 지닌 세계적 스포츠다. 올림픽 개최국은 올림픽 심벌마크(Symbol Mark)를제작하여 국가 문화와 민족성을 드러낸다. 영국 문화사회인류학자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상징기호이론’에 따르면 상징은 특정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사용된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근대올림픽 심벌마크에 사용된 구성요소가 상징기호로서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 ‘상징기호 이론’의 ‘물질’, ‘행위’, ‘감각’, ‘자연’, ‘사회’, ‘가상’ 여섯 가지 상징요소를 중심으로 근대올림픽 심벌마크에서 나타나는 시각요소를 분석하여 개최국별 심벌마크 상징성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범위는 1896년부터 2024년까지의 하계올림픽심벌마크 30개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로 심벌마크의 상징성을 빅터 터너의 상징기호 이론에 근거하여 고찰하고, 사례 연구로 하계올림픽 심벌마크에서나타나는 국가상징 요소를 통계 프로그램(SPSS)을통해 상관 분석한다. 이를 중심으로 하계올림픽을 여러 차례 개최한 국가의 심벌마크에서 시대 흐름에 따른 국가상징 요소의 변화를 고찰한다. 상징기호 분석을 통해 각국의 심벌마크를 분석한결과 올림픽 상징요소는 주로 ‘물질’, ‘감각’, ‘가상’이었으며, 주로 ‘건축물’, ‘국기’, ‘문양’이 각국 이미지와 일치하였다. 올림픽과 관련된 색상이나 형상을 한 요소에서도 국가상징 요소가 간접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분석되었다. 여러 차례 개최한 국가의 올림픽 심벌마크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초기 국가상징기호는 물질상징기호, 자연상징기호 등 사실적인요소에 기초를 두었으나 1960년을 시작으로 물질 상징 요소가 줄어들고, 가상상징기호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시대 변화에 따라 사회관계와 통합, 자유이념 등이 심벌마크에 나타나면서 국가를 나타내는실재적 요소보다 이념, 신앙 등 정신적 차원으로 전환되는 과정임을 유추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올림픽상징요소가 간략화되고 국가상징 요소가 주를 이루었으며, 중기에는 건물이나 트랙 등의 요소가 주로 사용되는 데 반해 현대에 이르러 사람과 의미를 내포한형상들이 중점이 되고 있었다. 본 연구가 올림픽 심벌마크의 국가 상징성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디자인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ummer Olympics is a global sport with a history of 90 years. The Olympic host country creates the Olympic symbol mark to represent the culture and ethnicity of that country. The British cultural and social anthropologist Victor Turner's ‘Symbol Theory' states that symbols are used to understand specific societies and cultures. In this thesis, the symbol mark of the modern Olympic Games is analyzed with ‘material' and ‘Action', and the symbol mark of the modern Olympic is ‘Sense', ‘Nature', ‘Society', and 'Virtual'. The difference in symbolism was investigated. The scope of the study is 30 symbol marks of the Summer Olympics from 1896 to 2024.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to investigate the symbolism of the symbol mark based on ‘Victor Turner's symbolism theory, and as a case study, the national symbol elements appearing in the symbol mark were analyzed (SPSS). It was found in material, sensory, and virtual elements. Even in the Olympic elements, the traditional national image symbol is indirectly expressed in the symbol mark, and changes have occurred over time. In modern times, only five rings of Olympic elements were used, and elements of national symbols were mainly us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design strategy that reflects the national symbolism of the Olympic symbol mark and the image of the time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MIN JUNG photo

SONG, MIN JUNG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