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재생사업의 지역지식이 도시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The Effect of Local Knowledge on Urban Health Involv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ther Titles
The Effect of Local Knowledge on Urban Health Involv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uthors
김환용한상천
Issue Date
Oct-2022
Publisher
대한건축학회
Keywords
도시재생; 지역지식; 주민참여; 도시건강; 다중; Local knowled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ident participation; Urban health; Urban regeneration
Cit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38, no.10, pp 167 - 176
Pages
10
Indexed
SCOPUS
KCI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ume
38
Number
10
Start Page
167
End Page
17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4048
DOI
10.5659/JAIK.2022.38.10.167
ISSN
2733-6239
2733-6247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재생 사업의 지역지식이 도시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역지식과 도시건강의 관계에서 주민기반 사업(물리적, 사회경제적)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도시재생 사업의 선도지역이며 자료구득이 용이한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하였고, 내용적 범위는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 53개소 및 서울시 지역사회 건강통계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의 사업시작 년도 1년 후인 2012년~2018년의 7년간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도시재생 사업의 지역지식이 도시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상관관계)과 다중회귀분석(인과관계)을 진행하였으며,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지역지식(지역현황, 주민참여),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주민기반 사업(물리적 사업, 사회경제적 사업),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도시건강(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의 총 6가지 변수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지식(독립변수)과 도시건강(종속변수)과의 관계분석에서는 주민참여만 정신적 건강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지식(독립변수)과 주민기반 사업(매개변수)과의 관계분석에서는 지역현황이 물리적 사업에 부(-)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현황과 주민참여가 사회경제적 사업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빈기반 사업(매개변수)과 도시건강(종속변수)과의 관계분석에서는 사회경제적 사업만이 정신적 건강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도시재생 사업의 지역지식이 도시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지식 중 주민참여가 주민기반 사업인 사회경제적 사업을 거쳐 도시건강 중 정신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인다. 매개변수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한 매개효과의 역할로 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주민참여가 사회경제적 사업을 통해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0.169, 주민참여가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0.474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총 효과는 0.643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과 매개변수의 간접효과 분석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도시재생 사업의 지역지식 중 주민참여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사업의 수가 많아지고, 사회경제적 사업의 수가 많을수록 해당 자치구의 정신적 건강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도시재생 사업에서 주민참여가 많이 반영될수록 도시의 정신적 건강의 비율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local knowledge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garding urban health; the mediated effects of thephysic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resident-based projects pertain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knowledge and urban health wereanalyzed. The spatial scope targeted 25 autonomous distric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content scope centered on 53 urban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with health statistic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time limit was set to seven years from2012 to 2018, one year after the start of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to analyze the impact of local knowledge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volving urban health. A total of six variables were organized intolocal knowledge correspon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of local status and resident participation, resident-based projects corresponding tomediator variables of physical and socioeconomic projects, and urban health corresponding to dependent variables of mental and physicalhealth. Analysis results of these variables reveale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in local knowled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ental health asit relates to urban health through socioeconomic projects that were resident-based project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MAJOR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wan Yong photo

Kim, Hwan Yong
ERICA 공학대학 (MAJOR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