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하프라이프 알릭스를 통한 몰입도 향상을 위한 VR 인트로 UI 디자인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영-
dc.contributor.author송지성-
dc.date.accessioned2023-12-08T09:34:06Z-
dc.date.available2023-12-08T09:34:06Z-
dc.date.issued2023-09-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6007-
dc.description.abstract가상현실 게임은 전 세계가 주목하고 그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잠재력이 전망되고 있는 분야이다. 가상현실 게임 내에서 사용자는 UI를 통해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며 실재감을 경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디자이너들은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찾아올 수 있는 매력적이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VR 게임의 UI 디자인은 각 VR 경험이 기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적응하기 어렵다. 이는 지속적인 연구와 탐구를 필요로 하는 영역이다. 특히 인트로 UI 디자인은 사용자가 처음 접하는화면으로서, 게임에 대한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요소다. VR 게임의 인트로 UI 디자인의 연구가 아직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실제와 유사한 체험을 제공하는 VR 게임의 특성을 고려한 가상현실 게임 인트로 UI 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높은 성공과 호평을 받았던 ‘하프라이프 알릭스’라는 VR 게임의 인트로 UI 디자인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게임의 UI 디자인에 대한중요성을 인식하고, 사용자 경험(UX) 향상을 목표로 하는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 작용하여, 높은 몰입감과우수한 사용성을 갖춘 VR 게임 인트로 UI 디자인의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 방법으로는이론적 고찰을 위해 논문, 전문 서적, 온라인 기사 및자료를 검토하고 인공지능(GPT4)를 활용한다. 또한2023년 상위 랭크 VR게임 8개의 인트로 UI 디자인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하프라이프 알릭스’ 의 기존 인트로 UI 디자인 문제점 파악 후 이를 개선한 프로토타입 시안 5가지를 제안하며, 그중 평가 척도에 근거해 최종적으로 프로토타입 시안 2를 최종시안으로 선정한다. 이 과정에서 대량 정보 처리에 따른 시각적 피로도 문제 해결 및 가독성과 직관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다. 추가적으로 슈팅게임의 특징을살리는 다양한 인터랙션 요소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주관성이 크게 작용하는 한계점이 있지만, VR 인트로 UI 디자인 전략 구축과 함께 관련아이디어 제공 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Virtual reality games are a field that the world pays attention to and its scale is gradually expanding, and its potential is expected. Within a virtual reality game, the user interacts with the content through the UI and experiences a sense of reality.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for designers to provide an attractive and immersive experience that users can repeatedly visit. However, the UI design of VR games is difficult for users to adapt easily because each VR experience is basically different. This is an area that requires continuous research and exploration. In particular, the intro UI design is a screen that users encounter for the first time,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ir first impression of the game. At a time when research on the intro UI design of VR games is not yet sufficient,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ntro UI design of virtual reality gam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R games that provide realistic experiences has emerged.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d on the intro UI design of a VR game called “Half Life Alix”,which was highly successful and well-received.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UI design of virtual reality (VR) games and develops and acts an evaluation scale aimed at improving user experience (UX) to suggest ways to improve VR game intro UI design with high immersion and excellent usability. As a research method, papers, professional books, online articles, and materials are reviewed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GPT4) is used. In addition, implications a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ro UI design of eight top-ranked VR games in 2023. After identifying the existing intro UI design problems of “Half Life Alix”,we propose five prototype drafts that improve them, and among them, prototype draft 2 is finally selected as the final draft based on the evaluation scale. In this process, we focus on solving visual fatigue problems caused by mass information processing and improving readability and intuition. In addition, various interaction factors that mak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oting game were consider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subjectivity of researchers plays a large role, bu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VR intro UI design strategies and the provision of related ideas.-
dc.format.extent13-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title하프라이프 알릭스를 통한 몰입도 향상을 위한 VR 인트로 UI 디자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VR Intro UI Design to Improve Immersiveness through Half-Life Alix-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18208/ksdc.2023.29.3.3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9, no.3, pp 37 - 49-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volume29-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37-
dc.citation.endPage49-
dc.identifier.kciidART00300023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User Interface Design(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Reality(가상현실)-
dc.subject.keywordAuthorInteraction(상호작용)-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532480-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I SUNG photo

SONG, JI SUNG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