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A Study on Possibility of Biomaterial in Fashion Product Design -focusing on experiment of fruit peels-패션 제품 디자인에서 바이오 소재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과일껍질 실험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패션 제품 디자인에서 바이오 소재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과일껍질 실험을 중심으로 -
Authors
장고만월이광선
Issue Date
Oct-2023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biobased material; fruit peel; sustainability; biomaterials; 바이오 기반 소재; 과일 껍질; 지속가능성; 바이오 소재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24, no.5, pp 481 - 492
Pages
12
Indexed
KCI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24
Number
5
Start Page
481
End Page
49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6157
DOI
10.47294/KSBDA.24.5.31
ISSN
1598-8635
2713-5993
Abstract
In recent years, biomaterials, as a new type of material, have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solution to the environmental challenges facing the fashion industry due to their non-polluting and biodegradable properties. While many biomaterials are now in commercial production, they are difficult to access by small studios or individuals. This is mainly due to undisclosed commercial formulations and high production costs. Moreover, there is little documentation on biomaterial production processes, limited to a few personal blogs or specific open source websit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ncise and practical methodology for studio-scale experiments so that biomaterials can be fabricated on a personal level.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the definition and scope of biomaterials were first investigated, and examples of bio-based and peel-based materia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Next,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fruit peels and materials readily available in daily life, and the test product were directly fabricated to investigate their potential as biomaterial. The experiment has two main directions: Firstly, the effects of binders, glycerol and preservatives (salt, lemon) were explored. Secondly, the effect of the original color of the fruit peel on the material color was experimented, and the visual effect of varying the thickness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material. In addition, dry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drying process on the material properties. Finally, four different designs of pouches and a garments were mad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fruit peels as biomaterial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lead to more active research on biomaterials and expand their uses, further promoting th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biomaterials in daily life.
최근 몇 년 동안 바이오 소재는 무공해, 생분해성, 신소재로서 패션 업계가 직면한 환경 문제에 대한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수많은 바이오 소재가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소규모 스튜디오나 개인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기는 어렵다. 이는 주로 공개되지 않은 상업적 배합과 높은 생산 비용 때문이다. 또한, 바이오 소재를 만드는 과정을 자세히 다룬 논문은 부족하며 개인 블로그나 특정 오픈소스 웹사이트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이번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차원에서 바이오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스튜디오 규모의 실험을 위한 간결하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캡슐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바이오 소재에 대한 정의와 범위를 알아보고, 바이오 기반 소재와 과일 껍질 기반 소재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특성과 한계를 파악하였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과일 껍질과 재료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물로 바이오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직접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실험은 크게 다음의 두 방향을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첫째로 바인더, 글리세롤, 방부제(소금, 레몬)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둘째로, 과일 껍질 고유의 색이 색상에 미치는 영향과 재료의 두께와 분쇄 크기에 따른 시각적 효과 그리고 건조공정이 재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한 건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험 결과를활용하여 네 가지 디자인의 파우치와 옷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일 껍질의 바이오 소재로서의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바이오 소재에 관한 더욱 활발한 연구와 저변 확대가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JEWELRY & FASH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wang Sun photo

Lee, Kwang Sun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JEWELRY & FASH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