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ESG 경영 성과 정보가 소비자들의 윤리적 정체성과 윤리적 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ESG Performance Information Disclosureon Consumers’ Perceived Ethical Self-Identityand Ethical Consumption Intention

Other Titles
Effects of ESG Performance Information Disclosureon Consumers’ Perceived Ethical Self-Identityand Ethical Consumption Intention
Authors
김준용Liu Yafe정성현
Issue Date
Feb-2024
Publisher
대한회계학회
Keywords
ESG 경영 성과 공시; 윤리적 정체성; 윤리적 소비의도; 사회 비교 이론; 도덕적 정화 효과; ESG performance disclosure; ethical self-identity; ethical consumption intention; social comparison theory; moral cleansing
Citation
회계와 정책연구, v.29, no.1, pp 255 - 277
Pages
23
Indexed
KCI
Journal Title
회계와 정책연구
Volume
29
Number
1
Start Page
255
End Page
2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8414
DOI
10.21737/RAPS.2024.02.29.1.255
ISSN
2635-8611
Abstract
[연구목적]본 연구는 기업의 우수한 ESG 경영 성과 정보가 소비자들의 지각된 윤리적 정체성과 윤리적 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해당 정보가 없을 때와 비교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심리 메커니즘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특정 기업의 ESG 경영 성과 정보를 제공한 실험 집단과 특정 기업의 ESG 경영 성과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통제 집단을 구성하여 집단 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특정 기업의 우수한 ESG 경영 성과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면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의도가 강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관계는 기업의 우수한 ESG 경영 성과 정보가 사회 비교의 대조 효과를 통해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윤리적 정체성을 약화시키고 이를 윤리적 소비를 통해 회복하려는 도덕적 정화 효과에 의한 간접적 영향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특정 기업의 ESG 경영 성과 정보가 주어지면, 소비자들은 해당 정보를 접하지 않은 경우와는 매우 다른 인지적 과정을 통해서 윤리적 소비의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책적시사점]본 연구는 기업의 ESG 성과 연구의 범위를 확장했다는 학문적 의의와 ESG 공시 의무화의 긍정적인 사회적 기대효과를 확인했다는 정책적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ESG 경영 공시기준 제정 및 도입에 대한 회계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closing excellent ESG performance information on consumers’ perceived ethical self-identity and ethical consumption intentions with those without the information. [Methodology]A between-subject 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formation on ESG performance of a specific compan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formation. [Findings]Exposure to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y’s excellent ESG performance enhanced the participants’ ethical consumption intentions. This effect was shown to be mediated by the participants’ weakened ethical self-identity and the moral cleansing effec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two conditions formed ethical consumption intentions through very different cognitive processes from each other. [PolicyImplications]The study suggests that implementing mandatory disclosure of ESG performance information could lead to positive social effect, as well as the sustainability of ESG practices, via the enhanced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intention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nyong photo

Kim, Junyong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