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궁박물관의 문화상품 디자인 속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자각된 가치를 매개로 하여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맹헌우-
dc.contributor.author고보형-
dc.date.accessioned2024-09-05T08:00:45Z-
dc.date.available2024-09-05T08:00:45Z-
dc.date.issued2024-08-
dc.identifier.issn2233-9205-
dc.identifier.issn2586-477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0407-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박물관 문화 상품은 문화와 상품의 결합 형태로, 이는 문화의 전승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정신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하지만 많은 문화 상품이 소비자의 독창성과 의미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궁 박물관 문화 상품의 디자인 속성이 지각된 가치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4년 6월에 5일간 고궁 박물관 문화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295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연구 변수들의 측정은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7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되었다. SPSS 26.0과 AMOS 26.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경로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고궁 박물관 문화 상품의 디자인 속성(심미성, 기능성, 상징성, 편리성)이 지각된 가치의 매개 효과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리성은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흥미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심미성과 상징성은 주로 지각된 흥미성을 향상시켰다. 기능성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현대 소비자들은 품의 기능성을 필수 속성으로 여기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는 제품의 편리성, 심미성, 상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통해 구매 의도를 높인다는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편리성, 심미성, 상징정이 문화 상품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박물관 문화 상품의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에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Museum cultural products are a combination of culture and commodity, which not only transmit culture but also fulfill people's spiritual needs. However, many cultural products fail to satisfy consumers' needs for originality and mea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design attributes of cultural products in Beijing palace museums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onsumers who purchased cultural products at the Palace Museum for five days in June 2024, and collected a total of 295 questionnaires. The measurement of the research variables consisted of five questions and were rated on a 7-point Likert scale. SPSS 26.0 and AMOS 26.0 software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and hypothesis testing through path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attributes (aesthetics, functionality, symbolism, and convenience) of cultural products in palace museums influenc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Convenience significantly enhanced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while aesthetics and symbolism mainly enhanced perceived enjoyment. Function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suggesting that modern consumers may not consider functionality as an essential attribute of an item.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enhancing product convenience, aesthetics, and symbolism increases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nsumers' perceived value, suggesting that convenience, aesthetics, and symbolism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ural product design. These results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the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of museum cultural products.-
dc.format.extent13-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dc.title고궁박물관의 문화상품 디자인 속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자각된 가치를 매개로 하여 --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design attributes of cultural products in palace museum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mediated by perceived value of the possessor --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21326/ksdt.2024.29.3.00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포럼, v.29, no.3, pp 55 - 67-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포럼-
dc.citation.volume29-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55-
dc.citation.endPage67-
dc.identifier.kciidART00310794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Palace Museum Cultural Products-
dc.subject.keywordAuthorDesign Attributes-
dc.subject.keywordAuthorPurchase Intentions-
dc.subject.keywordAuthor고궁박물관 문화상품-
dc.subject.keywordAuthor디자인 속성-
dc.subject.keywordAuthor구매의도-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3107943-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h, Bo hyung photo

Koh, Bo hyung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