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공지능을 활용한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고객 맞춤형 서비스 사례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정-
dc.contributor.author엄경희-
dc.date.accessioned2024-09-05T08:01:04Z-
dc.date.available2024-09-05T08:01:04Z-
dc.date.issued2024-06-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0434-
dc.description.abstract전 세계적으로 산업 분야 전반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패션산업은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온라인 쇼핑의 급증으로 산업 구조 자체가 영향을 받아왔는데, 인공지능기술의 발전은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 및 발전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화된 추천 알고리즘과 가상 스타일링 서비스 등을 통해소비자는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기업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고 마케팅 전략을 개선하고 있다. 나아가 소셜 미디어를 통한 광고와 소비자 리뷰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더욱 풍부하게 제공하고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본연구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 인공지능을 활용한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국내⋅외 사례를 문헌 연구를 통해조사하였다. 고객 맞춤형 서비스 방법 및 기술로 분류하여 개인 맞춤형 추천 서비스, 가상 셀프 스타일링서비스 및 실시간 스타일 가이드, 음성 및 이미지 검색으로 세분화하여 사례를 조사하였다. 해당 기능에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를 토대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쇼핑몰들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며, 기업들은이러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향후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형 온라인 쇼핑몰들은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활용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온라인 패션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들이 호응은 긍정적이며 수익성도 더욱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나 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패션 쇼핑몰들에 대한 소비자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챗봇에 의해반품이나 교환 서비스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진행될 때 소비자들의 재구매 의향도 높은 것으로파악되었다. 넷째,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상당수는 영세한 기업들이 많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도입하여 실제로 이를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현하고있는 쇼핑몰들은 자본력이 풍부한 일부 기업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필수 불가결할 것으로 보이는 온라인 쇼핑 및 나아가 패션산업의 인공지능 도입을 준비하고, 추후 인공지능에 기반한 패션 산업 및 온라인 쇼핑의 성장 가능성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online shopping facilitated by advancements in computers and the internet. The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is expected to serve as a catalyst for the activ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online shopping. Through AI-powered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lgorithms and virtual styling services, consumers can swiftly find products tailored to their preferences, while companies leverage big data to analyze consumer behavior and enhance marketing strategies. Furthermore, advertising via social media and consumer reviews contributes to providing richer product information and fostering interaction with consumers, thereby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utilizing AI-driven personalized servic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ases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s, virtual self-styling services, real-time style guides, and voice/image searches based on customer-centric service methods and technologies. The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I-driven customer-centric services based on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s of these functionalit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online shopping malls generate a substantial amount of data, with companies utilizing big data analysis to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and formulate future strategies. Secondly, major online shopping malls employ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ies to attract consumer interest, resulting in positive responses and increased profitability. Thirdly,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providing AI-powered voice and image services demonstrate high consumer satisfaction, especially when communication regarding returns or exchanges via chatbots is smooth, leading to higher repurchase intentions among consumers. Lastly, a significant number of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a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only a few companies with abundant capital actively implementing AI technologies, indicating a disparity in capital resources. Based on this study, there is significance in preparing for the inevitable integration of AI in online shopping and, subsequently, the fashion industry, and presenting the potential growth prospects of AI-based fashion and online shopping industries in the future.-
dc.format.extent16-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title인공지능을 활용한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고객 맞춤형 서비스 사례 연구-
dc.title.alternativeCase Study of AI-Powered Customized Services in an Apparel Shopping Mall-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18208/ksdc.2024.30.2.33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30, no.2, pp 333 - 348-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volume3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333-
dc.citation.endPage348-
dc.type.docType정기학술지(Article(Perspective Article포함))-
dc.identifier.kciidART00309180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인공지능-
dc.subject.keywordAuthor고객 맞춤형 서비스-
dc.subject.keywordAuthor데이터 기반-
dc.subject.keywordAuthor알고리즘-
dc.subject.keywordAuthor패션온라인 쇼핑-
dc.subject.keywordAuthor패션산업-
dc.subject.keywordAuthorArtificial intelligence-
dc.subject.keywordAuthorCustomer Centric Service-
dc.subject.keywordAuthorData Driven-
dc.subject.keywordAuthorAlgorithms-
dc.subject.keywordAuthorOnline Fashion Shopping-
dc.subject.keywordAuthorFashion Industry-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27699-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JEWELRY & FASH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Eom, Kyoung hee photo

Eom, Kyoung hee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JEWELRY & FASH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