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공지능 스피커의 세대별 온라인 리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경험 요인 탐색Exploring user experience factors through generational online review analysis of AI speakers

Other Titles
Exploring user experience factors through generational online review analysis of AI speakers
Authors
박정은양동욱김하영
Issue Date
Jul-2021
Publisher
한국융합학회
Keywords
인공지능 스피커; 온라인 리뷰 분석; 토픽모델링; 감성 분석; 사용자 경험; AI Speaker; Online Review Analysis; Topic Modeling; Sentiment Analysis; User Experience
Citation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12, no.7, pp 193 - 205
Pages
13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ume
12
Number
7
Start Page
193
End Page
20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0592
DOI
10.15207/JKCS.2021.12.7.193
ISSN
2233-4890
2713-6353
Abstract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실제 스피커 사용자들의 만족도는 42%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세대별 토픽 변화와 감성 변화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마존 에코 닷 3세대와 4세대 모델에 대한 리뷰를 수집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세대별로 리뷰를 이루는 주제 및 주제의 변화를 찾아내고, 딥러닝 기반 감성 분석을 통해 토픽에 대한 사용자 감성이 세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토픽모델링 결과, 세대별로 5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3세대의 경우 스피커의 일반적 속성을 나타내는 토픽은 제품에 긍정적 반응 요인으로 작용했고, 사용자 편의 기능은 부정적 반응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대로 4세대에서는 일반적 속성은 부정적으로, 사용자 편의 기능은 긍정적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방법론 측면에서 어휘적 특징뿐 아니라 문장 전체의 문맥적 특징이 고려된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AI speaker market is growing steadily. However, the satisfaction of actual users is only 42%.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llected reviews on Amazon Echo Dot 3rd and 4th generation models to analyze what hinders the user experience through the topic changes and emotional changes of each generation of AI speakers. By using topic modeling analysis techniques, we found changes in topics and topics that make up reviews for each generation, and examined how user sentiment on topics changed according to generation through deep learning-based sentiment analysis.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five topics were derived for each generation. In the case of the 3rd generation, the topic representing general features of the speaker acted as a positive factor for the product, while user convenience features acted as negative factor. Conversely, in the 4th generation, general features were negatively, and convenience features were positively derived. This analy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esent analysis results that take into account not only lexical features but also contextual features of the entire sentence in terms of methodolog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PUTING >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eongeun photo

Park, Jeongeun
ERICA 소프트웨어융합대학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