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AI 스피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론과 기대일치이론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상기-
dc.contributor.author장병희-
dc.contributor.author김헌-
dc.date.accessioned2024-09-26T03:00:23Z-
dc.date.available2024-09-26T03:00:23Z-
dc.date.issued2020-06-
dc.identifier.issn1598-3757-
dc.identifier.issn2734-0201-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062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TV, 인터넷 등 기존 미디어와는 달리 주로 개인 공간에서 혼자 사용하는 AI 스피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자들은 대학생이 AI 스피커를 활용하면서 느끼는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기대일치이론의 효과를 중심으로 AI 스피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론을 통해 AI 스피커의 ‘기능적 매력’과 ‘사회적 매력’, ‘외형적 매력’이 이용자와 AI 스피커 간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대일치이론을 근거로 이용자의 AI 스피커 사용 전 ‘지각된 기대’, ‘지각된 성과’ 등이 ‘기대일치’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끝으로 ‘만족’이 AI 스피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 ‘기능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등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매력’과 ‘사회적 매력’은 기능 및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형적 매력’은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기능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기대일치이론에서 ‘지각된 기대’는 ‘기대일치’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성과’는 ‘기대일치’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기대일치’는 ‘만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은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의 이론적 함의와 미디어산업계 시사점, 연구한계 등을 논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TV, 인터넷 등 기존 미디어와는 달리 주로 개인 공간에서 혼자 사용하는 AI 스피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자들은 대학생이 AI 스피커를 활용하면서 느끼는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기대일치이론의 효과를 중심으로 AI 스피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론을 통해 AI 스피커의 ‘기능적 매력’과 ‘사회적 매력’, ‘외형적 매력’이 이용자와 AI 스피커 간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대일치이론을 근거로 이용자의 AI 스피커 사용 전 ‘지각된 기대’, ‘지각된 성과’ 등이 ‘기대일치’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끝으로 ‘만족’이 AI 스피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 ‘기능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등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매력’과 ‘사회적 매력’은 기능 및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형적 매력’은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기능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기대일치이론에서 ‘지각된 기대’는 ‘기대일치’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성과’는 ‘기대일치’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기대일치’는 ‘만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은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의 이론적 함의와 미디어산업계 시사점, 연구한계 등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AI speakers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parasocial interaction theory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theory. We examined the effects of ‘task attraction’, ‘social attraction’ and ‘physical attraction’ of AI speakers on ‘parasoci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between users and AI speakers. Finally,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on AI speaker ‘use intention’. In parasocial interaction theory, observ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two factors as functional parasocial interaction and affective parasocial interaction. As a results, task attraction and social attraction positively affected both parasocial interactions variables but physical attraction negatively affected affective parasocial interaction only. Functional parasocial interaction positively affected satisfaction,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ffective parasocial interaction. This research initially confirmed that the parasocial interaction factor can be divided into two sub-factors(functional, affective) in the AI speaker research, and also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media industry. Regarding expectation confirmation theory, we analyzed influences of ‘perceived expect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before using AI speaker.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theory, perceived expect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expected agreement, perceived performance positively affects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dc.format.extent36-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언론정보학회-
dc.title대학생의 AI 스피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론과 기대일치이론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Factors Affecting AI Speaker Use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Parasocial Interaction Theory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Theory-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46407/kjci.2020.06.101.30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언론정보학보, v.101, pp 305 - 340-
dc.citation.title한국언론정보학보-
dc.citation.volume101-
dc.citation.startPage305-
dc.citation.endPage340-
dc.type.docType정기학술지(Article(Perspective Article포함))-
dc.identifier.kciidART002594251-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AI 스피커-
dc.subject.keywordAuthor기능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dc.subject.keywordAuthor정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dc.subject.keywordAuthor기대일치이론-
dc.subject.keywordAuthorLavaan-
dc.subject.keywordAuthorAI speaker-
dc.subject.keywordAuthorparasocial interaction theory-
dc.subject.keywordAuthorexpectation confirmation theory-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5381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