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SNS 이용자의 상향 비교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the Upward Social Comparison of SNS Users on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Monitoring and Self-Ex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 Other Titles
- The Impact of the Upward Social Comparison of SNS Users on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Monitoring and Self-Ex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 Authors
- 진청홍; 전범수
- Issue Date
- Sep-2024
- Publisher
- 한국지역언론학회
- Keywords
- SNS; 상향 비교; 소외에 대한 두려움; 세대 차이 SNS; upward comparison; fear of social exclusion; generation differences
- Citation
- 언론과학연구, v.24, no.3, pp 189 - 224
- Pages
- 3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언론과학연구
- Volume
- 24
- Number
- 3
- Start Page
- 189
- End Page
- 22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1309
- DOI
- 10.14696/jcs.2024.09.24.3.189
- ISSN
- 1598-2653
- Abstract
- 이 연구는 중국 SNS 이용자의 상향 비교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두 변수 사이에 자기감시성 및 자기표현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세대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 SNS 이용자 58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SNS 이용자의 상향 비교는 FOMO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SNS 이용자의 자기감시성 및 자기표현은 FOMO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국 SNS 이용자의 상향 비교는 자기감시성 및 자기표현을 매개로 FOMO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40대 이하와 40대 이상 SNS 이용자들의 경로 분석을 통해 세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향 비교가 자기감시성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자기감시성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40대 이하가 40대 이상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상은 40대 이하보다 상향 비교가 자기표현에 미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이 FOMO에 미치는 영향 결과를 살펴보면, 40대 이상 구성원은 유의미하지 않은 통계적 결과가, 40대 이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among user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on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In particular, it explored the roles of self-monitoring and self-expression in this relationship and investigated whether such influences differ by gender. To this end, the study targeted Chinese SNS users with a total sample size of 588 individual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ly, the upward comparison of SNS us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Secondly, self-monitoring and self-expression exhibited positi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comparison and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Thirdly, the upward comparison of SNS us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self-monitoring and self-expression. The study results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revealed variations in the impact of upward comparison on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Overall, females showed a greater impact compared to males, suggesting that females have a higher likelihood of fear of social exclusion. Moreover, males demonstrated a more direct impact of fear of social exclusion through upward comparison compared to females. Males showe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monitoring on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Females, on the other hand, played a distinc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ression, upward comparison, and the fear of social exclusion.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