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애니메이션에서 감성 디자인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바바야가(Baba Yaga)>를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장우목 | - |
dc.contributor.author | 노승관 | - |
dc.date.accessioned | 2024-12-16T01:00:31Z | - |
dc.date.available | 2024-12-16T01:00:31Z | - |
dc.date.issued | 2024-09 | - |
dc.identifier.issn | 1598-649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1311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VR 애니메이션에서 감성 디자인이 관객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VR 애니메이션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대중의 주목을 받으며 특히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응용 형태로 자리 잡았다. 감성 디자인은 단순히미학적인 매력을 넘어 관객의 감정과 심리적 경험을풍부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VR 애니메이션인 <바바야가(Baba Yaga)>를사례로 선택하여, 감성 디자인의 세 가지 측면—본능적 디자인, 행동적 디자인, 반성적 디자인—이 관객의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검토, 초기 작품 선별,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SEM) 검증을사용하였고, 총 6개의 VR 애니메이션을 초기 평가한후, <바바야가>를 심층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347개의 유효한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SPSS 26.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성 디자인의 세 가지 측면이 모두 관객 선호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VR 애니메이션 및 기타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및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향후 감성 디자인을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emotional design on audience preference in VR animation.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VR animation has entered the public eye and has become an important application form, especially in the fields of entertainment and education. Emotional design plays a crucial role in enriching user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beyond merely providing aesthetic appeal. This study selects the representative VR animation <Baba Yaga> as a case to analyze how the three aspects of emotional design—visceral design, behavioral design, and reflective design—affect audience preference. The research methods used include literature review, initial selection of works, surveys, data analysis, and ver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fter initially evaluating six VR animation works, <Baba Yaga> was selected for in-depth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collecting 347 valid respon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ll three aspects of emotional desig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udience preference.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VR animation and other interactive media design, contributing to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in the future. | - |
dc.format.extent | 14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 |
dc.title | VR 애니메이션에서 감성 디자인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바바야가(Baba Yaga)>를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Design on Audience in VR Animation -Focusing on <Baba Yaga>-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8208/ksdc.2024.30.3.411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30, no.3, pp 411 - 424 | - |
dc.citation.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30 | - |
dc.citation.number | 3 | - |
dc.citation.startPage | 411 | - |
dc.citation.endPage | 424 | - |
dc.identifier.kciid | ART003120915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Virtual Reality | - |
dc.subject.keywordAuthor | VR Anim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Emotional Design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가상 현실 | - |
dc.subject.keywordAuthor | VR 애니메이션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감성 디자인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36083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