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료의 표준화를 통한 ENSO 지수와 수문변량의 상관관계분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웅-
dc.contributor.author추현재-
dc.contributor.author이정규-
dc.contributor.author위성욱-
dc.date.accessioned2025-04-09T02:31:01Z-
dc.date.available2025-04-09T02:31:01Z-
dc.date.issued2006-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4558-
dc.description.abstractENSO(El $Ni\check{n}o$ Southern Oscillation)은 태평양상의 해양과 대기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일부이며, ENSO 순환(ENSO cycle)의 극한상태인 엘니뇨와 라니냐는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하여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ENSO와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수문자료의 변동계수가 크기 때문에 이를 단순 표준화하여 해석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표준정규분포화를 통하여 ENSO와 우리나라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ENSO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적도부근 남태평양 Tahiti섬과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Darwin 지역에서의 기압차를 월별로 표준화(standardization)한 SOI(Southern Oscillation Index)지수를 이용하였고, 수문자료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23개 기상관측소의 월강수량, 12개 기상관측소의 월평균기온, 월최저기온, 월최고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를 가지는 표준정규지수로 환산하였다. 환산된 자료의 계절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3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초과확률 등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정지역의 수문변동이 남방진동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수문기상학적 예측모형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title자료의 표준화를 통한 ENSO 지수와 수문변량의 상관관계분석-
dc.typeConference-
dc.citation.title2006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dc.citation.startPage1520-
dc.citation.endPage1524-
dc.citation.conferencePlace대한민국-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445108-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2. Conference Paper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Tae Woong photo

Kim, Tae Woong
ERICA 공학대학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