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유역에서의 기상학적 가뭄의 공간적 전이에 대한 근원지 잠재영향 평가open accessQuantifying Spatial Drought Propagation Potential of Source Region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Other Titles
- Quantifying Spatial Drought Propagation Potential of Source Region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Authors
- 손호준; 한정우; 김태웅
- Issue Date
- Apr-2025
- Publisher
- 대한토목학회
- Keywords
- 가뭄 전이; 기상학적 가뭄; 근원지; 전이잠재성; Drought propagation; Meteorological drought; Source region; Propagation potential
- Citation
-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45, no.2, pp 151 - 160
- Pages
- 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 Volume
- 45
- Number
- 2
- Start Page
- 151
- End Page
- 16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5292
- DOI
- 10.12652/Ksce.2025.45.2.0151
- ISSN
- 1015-6348
2799-9629
- Abstract
-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발생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가뭄 전이 현상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의 공간적 전이의 근원지 및 종착지를 파악하고 근원지의 잠재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가뭄이 다른 지역으로 전이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전이잠재성(PP)을 분석한 결과, 가뭄의 공간적 전이 현상의 근원지 군집은 계절적으로 유사한 위치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특정 지역이 외부 근원지로부터 가뭄 전이의 영향을 받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근원지 잠재영향(PISR)을 산정한 결과, 근원지는 99.49 %가 0.5 이상의 PISR 값을 가지는 반면, 종착지는 23.68 %가 0.5 이상의 값을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높은 PISR을 가지는 근원지는 다른 지역으로부터 가뭄이 전이된 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낙동강 유역에서 가뭄의 근원지는 다른 근원지들과 강하게 상호작용하며, 가뭄의 공간적 전이 현상의 중간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계절별 전이 잠재성에 대해 공간자기상관성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봄의 전이 잠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봄철에 가뭄의 발생 빈도 및 공간적 전이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음을 나타낸다.
As the risk of drought occurrence increases due to climate change, various research works are underway around the world to analyze drought propag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source and sink regions of the spatial propag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and evaluated the potential effects of the source regions. The results of the propagation potential (PP), which quantifies the extent to which droughts onset in a specific region propagate to other regions, indicated that the source regions of drought propagation are seasonally located in similar areas. The results of the potential influence of source region (PISR), which quantifies represents the extent to which a specific region is affected by drought propagation from the other source regions, indicated that 99.49 % of the source regions had a PISR value of 0.5 or more, while 23.68 % of the sink regions had a value of 0.5 or more. The source regions with high PISR values have high intensity of drought propagation from other regions within the study area. Therefore, the source regions were identified to significantly interact with other source regions, playing an intermediary role in the spatial propagation of drought in the Nakdong River Basin. In addition,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of seasonal propagation potential, the propagation potential of spring was highest compared to other seasons. This indicates that the frequency of drought event and spatial drought propagation are more frequent in spring.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