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회재 이언적 생애의 주기적 해석A Periodic Interpretation of the Life of Hoejae Yi Eon-jeok

Other Titles
A Periodic Interpretation of the Life of Hoejae Yi Eon-jeok
Authors
박정해
Issue Date
Apr-2025
Publisher
산업진흥원
Keywords
Hoejae Yi Eon-jeok; Myeongrihak; Daewoon; Sewoon; Periodic Interpretation; Neo-Confucianism; 회재 이언적; 명리학; 대운; 세운; 주기적 해석; 성리학
Citation
산업진흥연구, v.10, no.2, pp 271 - 281
Pages
11
Indexed
KCI
Journal Title
산업진흥연구
Volume
10
Number
2
Start Page
271
End Page
28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5338
DOI
10.21186/IPR.2025.10.2.271
ISSN
24661139
Abstract
본 연구는 회재 이언적의 생애를 주기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의 학문적 성취와 정치적 활동을 명리학적 틀 안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재의 생애는 대운과 세운의 변화에 따라 정치적 탄압과 학문적 성취가 반복되는 주기적 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삶의 주요 전환점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그는 신약한 사주와 인성의 부재로 인해 정치적 대립에서 불리한 입장이 되기 쉬웠으며, 대운과 세운의 조합에 따라 정치적 입지가 크게 변동한다. 갑오 대운에서 유입된 정인 오화는 학문적 연구를 심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유배 생활 중에도 지속적인 저술 활동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 된다. 즉, 인성운이 반드시 정치적 복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대운과 세운의 흐름 속에서 학문적 탐구와 현실 정치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명리학적 해석이 개인의 삶을 단순한 길흉 판단이 아니라, 시대적 환경과 맞물려 변화하는 과정으로 조망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대운과 세운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생애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명리학적 해석이 역사 연구 및 철학적 탐구와 결합 될 수 있는 방법론적 기반을 확립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zes Hoejae Yi Eon-jeok’s life through a periodic perspective, interpreting his academic and political activ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Myeongrihak (Four Pillars of Destiny). His life exhibits a recurring pattern of political oppression and scholarly achievements, influenced by shifts in Daewoon (Decadal Luck) and Sewoon (Annual Luck). Due to his weak self (Shinyak) and the absence of Inseong (Resource Star), he often faced disadvantages in political conflicts, with his standing fluctuating based on Daewoon and Sewoon combinations. During the Gap-O (甲午) Daewoon, the influence of Jeong-in (正印, Proper Resource) Fire deepened his academic pursuits, sustaining scholarly activities even in exile. This suggests that Inseong does not guarantee political reinstatement but varies in its impact depending on Daewoon and Sewoon interactions. By applying a Myeongrihak-based approach, this study offers a multidimensional view of historical figures’ lives and explores the methodological potential of integrating Myeongrihak with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 >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E, PARK JEONG photo

HAE, PARK JEONG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