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형 공공디자인을 활용한 도시 환경 개선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전재봉 | - |
dc.date.accessioned | 2025-05-26T02:00:40Z | - |
dc.date.available | 2025-05-26T02:00:40Z | - |
dc.date.issued | 2025-03 | - |
dc.identifier.issn | 19764405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5360 | - |
dc.description.abstract |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서울시는 '서울은 미술관' 프로젝트를 통해 도심 곳곳에 사용자 참여형 공공디자인 작품을 설치하며, 도시 환경과 예술의 결합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디자인은 단순히 조형물을 감상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제작과정에 개입하고, 완성된 작품과 상호작용하며 이를 체험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본 연구는 종로구 K 고등학교 옹벽에 설치된 사용자 참여형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의 기획 및 구현 과정을 분석하고, 공공디자인이 도시 환경 개선에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서울시 공공미술 정책과 '서울은 미술관' 프로젝트의 배경을 검토하고, 국내외 주요 참여형 공공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후 연구 대상지인 K 고등학교 옹벽의 현황을 조사하고, 사용자와 작품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안전성 확보 및 경량화를 위한 재료 연구, 회전 속도 조절 실험, 내구성을 고려한 가공 방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집된 하늘 사진의 색상 및 메시지를 각 모듈 디자인에 반영하여, 공공디자인이 개인적인 경험과 도시 환경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음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효과 및한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진행된 사용자 참여형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는 공공디자인이 도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방식을 실험한 사례로,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용자가 직접 제공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의 기억과 도시 공간을 연결하는 새로운 유형의 사용자 참여형 공공디자인 방식을 제안하였다. 둘째, 보행자의 움직임과 바람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모듈을 개발하여 공공디자인과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일상적인 보행 환경에 역동성과 변화를 부여하였다. 셋째, 기존의 노후화된 옹벽과 보행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공공디자인이 단순한 시각적 개입을 넘어 보행자 중심의 도시 공간 재구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형 디자인을 적용하여 다양한 도시 공간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재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통해 공공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형 공공디자인이 도시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작품 제작 과정에 개입하고, 공공디자인이 보행자의 움직임과 자연환경에 반응하도록 설계됨으로써 도시 공간과의 상호작용이 강화되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모듈형 디자인을 활용하여 확장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공공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참여형공공디자인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실천적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Background and Purpos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enhancing the integration of urban environments and art through the 'Seoul is a Museum' project by installing user-participatory public design works across the city. As a result, public design has evolved beyond passive appreciation, allowing users to engage in the production process, interact with completed works, and directly experience them. In response to this shift, this study analyzes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a user-participatory public design project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of K High School in Jongno-gu, aiming to explore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s Seoul's public art policies and the 'Seoul is a Museum' project while analyzing the strategies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ticipatory public design cases to establish a foundational research direction. Following this,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the retaining wall at K High School were assessed,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module designed to maximize engagement between users and the installation. Additionally, material research for safety and weight reduction, rotational speed control experiments, and durability tests were conducted to derive an optimized design. Furthermore, the colors and messages from sky photographs collected through various media platforms were incorporated into the module design, exploring how public design can serve as a medium connecting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 urban environment. Finally,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Results) This study presents a case in which user-participatory public design was explored as a method of interaction with urban environments, yielding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by utilizing user-provided data, this project proposed a new type of participatory public design that connects individual memories with urban space. Second, by developing an interactive module that responds to pedestrian movement and wind, the project facilitated natural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public design, introducing dynamism and variation into everyday walking environments. Third, the project improved the deteriorated retaining wall and pedestrian space, demonstrating that public design can go beyond visual interventions to contribute to the reconfiguration of pedestrian-centered urban spaces. Lastly, the adoption of a modular design explored the potential for expansion into various urban settings while ensuring sustainability through a reusable and easily maintainable structure. (Conclusions)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user-participatory public design can contribute to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particular, it verifies that allowing users to engage in the design process and enabling public design to respond to pedestrian movement and natural elements strengthens interactions between urban spaces and their users. Additionally, by implementing a modular system,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public design that balances adaptability and sustain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practical model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participatory public design, highlighting its role in shaping interactive, inclusive, and dynamic urban spaces. | - |
dc.format.extent | 12 | - |
dc.language | 영어 | - |
dc.language.iso | ENG | - |
dc.publisher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 |
dc.title | 참여형 공공디자인을 활용한 도시 환경 개선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Urban Environment Enhancement through Participatory Public Design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35216/kisd.2025.20.2.79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20, no.2, pp 79 - 90 | - |
dc.citation.titl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 |
dc.citation.volume | 20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79 | - |
dc.citation.endPage | 90 | - |
dc.type.docType | 정기학술지(Article(Perspective Article포함)) | - |
dc.identifier.kciid | ART003188424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참여형 공공디자인 | - |
dc.subject.keywordAuthor | 도시 재생 | - |
dc.subject.keywordAuthor | 사용자 경험 | - |
dc.subject.keywordAuthor | 모듈형 디자인 | - |
dc.subject.keywordAuthor | 상호작용 | - |
dc.subject.keywordAuthor | Participatory Design | - |
dc.subject.keywordAuthor | Urban Regener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User Experience | - |
dc.subject.keywordAuthor | Modular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teraction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