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무비로서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장르 구조와 특성
- Authors
- 전범수
- Issue Date
- Aug-2025
- Publisher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 Citation
- 글로벌문화콘텐츠, no.64, pp 345 - 370
- Pages
- 2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글로벌문화콘텐츠
- Number
- 64
- Start Page
- 345
- End Page
- 37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6323
- ISSN
- 2005-6176
2765-5660
- Abstract
- 이 연구는 로드 무비로서 일본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장르 구조와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에 포함된 서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공간 이동 동기와 갈등 구조, 갈등 해결의 과정을 분석했다. 서사에 포함된 갈등 구조는 과거의 스즈메가 끊임없이 현재의 스즈메를 괴롭히는 자아 갈등으로 나타났다. 스즈메가 자신과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은 일본 각지의 지진 발생 가능성이 큰 폐허로의 여정을 통해 지진을 막는 행동으로 연결된다. 둘째, ˂스즈메의 문단속˃에 나타난 관습은 여행지의 공간성, 타자의 형상화, 돌발 상황 등으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여행지의 공간성은 일본 각 지역의 폐허들이자 사람들에게 잊힌 재난의 공간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스즈메는 현실에서는 재난을 경험했던 그러나 서사에서는 재난이 예상되는 폐허 공간을 찾아 일본전역을 이동했다. 다음,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타자는 대부분 스즈메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타자라기 보다는 같은 공동체 구성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애니메이션에서는 여러 돌발 상황이 등장했다. 가령, 남자 주인공 캐릭터로 나오는 소타가 마법에 걸려 의자로 변하거나 고양이 다이진이 사람과 말을 할 수 있다거나 또는 최종 목적지로 가는 과정에 자동차가 고장이나 나서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장면 등이 포함된다. 셋째, 캐릭터를 살펴보면 스즈메는 여자 고등학생으로 1인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스즈메와 같이 계속 여정을 같이 하는 소타를 포함하게 되면 주인공은 2인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가족이라고는 이모뿐이다. 불완전한 가족 관계는 로드 무비의 전형적인 특성이다. 넷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스마트폰으로 현실 세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이동 수단은 선박, 열차, 고속열차, 자전거, 자동차 등 다양하게 등장했다. 오리엔테이션 장치는 스즈메가 긴 여정을 이동하는 동선을 알려주는 장치로 다이진이 이동 방향을 하나하나 알려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애니메이션은 전형적인 로드 무비의 구조를 가지며 현실 및 비현실적 공간이 결합하는 신화적 서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