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게임 커뮤니티의 상호작용 연구: ˂러브 앤 딥스페이스˃ 웨이보 하이퍼토픽(微博超话)을 중심으로
- Authors
- 이진
- Issue Date
- Jun-2025
- Publisher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Citation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no.79, pp 247 - 283
- Pages
- 37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Number
- 79
- Start Page
- 247
- End Page
- 28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6377
- DOI
- 10.7230/KOSCAS.2025.79.247
- ISSN
- 1738009X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 커뮤니티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상호작용 주체와콘텐츠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오토메 게임 ˂러브 앤 딥스페이스˃의 웨이보커뮤니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커뮤니티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인간 관계로, 현재인터넷에서 사회적 관계의 주요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인터넷 시대에 게임플레이어들은 커뮤니티를 통해 흥미를 커뮤니케이션하며 독특한 사회문화적현상이 나타났다. 게임 커뮤니티는 인터넷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와 활발한 하위 문화 커뮤니티 중 하나로, 공통의 관심사와 가치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된전형적인 인터넷 커뮤니티로 간주될 수 있다.
연구 결과, ˂러브 앤 딥스페이스˃ 웨이보 하이퍼토픽 커뮤니티에서는 공식 계정과 콘텐츠 창작자가 일반 사용자보다 ‘좋아요’, 리트윗, 댓글 등에서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상호작용 수치를 기록하며, 커뮤니티 활성화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이보 하이퍼토픽의 상호작용 유형은 언어 기호와 비언어 기호로 구분되며, 언어 기호는 공통 문화적 배경을 전제로해석되는 반면, 비언어 기호 중 동영상 콘텐츠는 사용자 참여를 가장 효과적으로 유도하였다. 실증 데이터에 따르면 동영상 포함 게시물의 상호작용량은텍스트 전용 콘텐츠를 유의미하게 상회하였으며, 이미지 콘텐츠 또한 텍스트대비 높은 반응을 얻었다.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에너지와 사회적 자본을 축적함으로써 게임에 대한 지속적 참여를 이끌어낼 뿐만 아니라, 집단 소속감을강화하고 게임 영향력을 확장하는 동시에 감정 만족을 달성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