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뉴스 플랫폼의 공감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진이 | - |
dc.contributor.author | 김성훈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2T17:44:14Z | - |
dc.date.available | 2021-06-22T17:44:14Z | - |
dc.date.issued | 2016-06 | - |
dc.identifier.issn | 1598-649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134 | - |
dc.description.abstract | 오늘날 우리는 개인용 디바이스를 통해서 포털 플랫폼에 접속하여 뉴스를 확인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포털 플랫폼은 각 언론사의 특정 프레임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보다, 중립적 입장에서 언론 미디어의중계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독자)에게 전통적미디어인 종이신문을 통해서 기사를 접할 때 보다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탐색 및 수용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또한 연령, 지역, 선호 일간지의 유무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사용자가 모이는 곳이므로 자유로운 의견 표현과 토론이 이루어진다. 공감 경험은이 모든 과정 속에서 콘텐츠 수용과 인터페이스에서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 삶의 이야기를 객관적⋅이성적 관점에서 전달하는 뉴스소비 과정에서 사용자와 공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반응과 콘텐츠의 실효성 확인이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포털 뉴스 플랫폼에서 공감 경험이 가능한 디자인 요소는 그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게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현상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로써, 뉴스매체와 사용자의사용 행태 변화, 그리고 이 모든 변화의 중심에 있는포털 뉴스 플랫폼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둘째는 공감에 대한 이론과 사례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목적인 포털 뉴스 플랫폼의 공감 경험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공감 경험 디자인을 사용자와 제공자가 사회⋅문화에실질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공감 경험디자인의 ‘능동적 공존감, 물리적 근접감, 심리적 재경험’의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oday, we usually check the daily news on the portal platform by personal devices. The role of Portal platform is the connecting and spreading each news of media, in a neutral position, rather than to provide content in specific frame of the media. Therefore, it makes users(readers) can select and accept news which information is the variety point of view than when we read news via newspapers. In addition, it perform discussion and expression personal opinion freely because the place where most users gather without age, region and favorite daily press. Experience of empathy is to communicate on the interface and accept news contents in whole process of this. In particular, news that passing our lives in the objective and rational point of view will be difficult to confirm the performance and the reaction of users without empathy in the consumption process of news. Thus, the elements of experience for empathy would be an important role more than anything else in the portal platform of news. In this study, it performed two large parts. Initially as a study of the proces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about news media and user behavior, and the role and meaning for portal platforms of news which is in the center of all changes of these. Secondly, this study deriv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of empathy on portal platforms of news through theory and case studies of empathy. As a result, in this study defined experience of the empathy as readers and providers able to influence substantially on society and culture, and it consist the three characteristics ‘the active sense of coexistence, the proximity sense of physical things, and the re-experience of psychological’. | - |
dc.format.extent | 14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 |
dc.title | 포털 뉴스 플랫폼의 공감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Experience Design of Empathy for the News Platform of Portals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8208/ksdc.2016.22.2.547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2, no.2, pp 547 - 560 | - |
dc.citation.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22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547 | - |
dc.citation.endPage | 560 | - |
dc.identifier.kciid | ART002118165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Empathy(공감) | - |
dc.subject.keywordAuthor | Experience Design(경험 디자인) | - |
dc.subject.keywordAuthor | News(뉴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Portal Platform(포털 플랫폼) | - |
dc.subject.keywordAuthor | Journalism(저널리즘)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704716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