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월을 이용한 공간 영상디자인 연구A Study on Spatial Image Design Using Smart Wall
- Other Titles
- A Study on Spatial Image Design Using Smart Wall
- Authors
- 김성훈
- Issue Date
- Mar-2020
- 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Keywords
- Smart Wall(스마트 월); Spatial design(공간 디자인); Image design(영상 디자인)
- 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6, no.1, pp 71 - 81
- Pages
- 1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Volume
- 26
- Number
- 1
- Start Page
- 71
- End Page
- 81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737
- ISSN
- 1598-6497
- Abstract
- 최근 스마트미디어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모든 사물과 환경이 연결되는 IoT(Internet of Thins)기술과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벽이 곧 디스플레이가 되는 스마트월(Smart Wall)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월은 스마트미디어의특성과 함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로서의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으며, 공간을 나누는 물리적 벽뿐만 아니라 공간을 구성하는 인테리어 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월을 사용자와 공간이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하나의 미디어라 정의할 때 최근 중요성이급격히 증가하는 영상콘텐츠 또한 스마트월을 통해공간의 특성과 소통해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월 미디어 환경에 적용할 영상콘텐츠 개발에 있어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유형화하고 공간을 구성하는 디자인적 특성을 접목함으로써 스마트월 기반 영상콘텐츠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조사⋅분석을 통해 스마트월이 설치될 공간 유형과 공간디자인적 특성, 이에영향을 미치는 영상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여 각 요인에따른 관계 분석을 위한 설문을 설계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 유형별 공간디자인 특성의 선호도와 각 특성을 인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영상디자인요소를 통계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앞으로새롭게 등장할 미디어에 대응할 영상콘텐츠 개발에있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Recently, the smart media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In particular, IoT technologies and large display technologies that connect all objects and environments are developing.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mart walls, where walls are displays. Smart Wall has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media. It also has characteristics a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space. Smart wall has become a physical wall that divides the space and interior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Therefore, the smart wall can be defined as a medi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pace. As a result, video contents, whose importance is rapidly increasing, need to communicat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Therefore, this study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typographical features of space for developing image contents to be applied to smart wall media environment. Through this, we will find ways to apply smart wall based video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Space type and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The image design factors affecting this were derived.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each factor. Finall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image contents to cope with the emerging media.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