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교육의 역발상적 유형 AR(Assumption Reversal) 워크시트 제안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생들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왕소원 | - |
dc.contributor.author | 김응화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2T09:15:29Z | - |
dc.date.available | 2021-06-22T09:15:29Z | - |
dc.date.issued | 2020-03 | - |
dc.identifier.issn | 1598-649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745 | -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는 4차 혁명이라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 기계가 인간의 일을 대부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의 역량을 키워야 할 것이다. 특히,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사고력을 말하는 창의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고 모든 학자들이 동일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패턴을 벗어난 영역을 탐구할 수 있는 통찰력과 상상력을 갖춘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기계는할 수 없는 ‘새로운 생각’에 본 연구는 주목한다. 기존의 우리가 가지고 있던 생각을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르게 생각하기, 즉 역발상을 디자인 교육 안에서 고찰해보고 역발상적 유형의 워크시트를 제안하는 데 주 목적을 두고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자유학기제가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며 특히 디자인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은크게 역발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역발상 사고 이론의유형화 그리고 역발상적 유형 AR 워크시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학자들의 역발상에 대한 정의를 알아보았고 이와더불어 역발상적 사고를 하는 방법(AR기법)에 대하여고찰해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고찰해본 내용을 바탕으로 이론을 시각적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자인 교육에서역발상적 사고를 경험해볼 수 있도록 역발상 사고 기법인 AR기법을 활용하여 워크시트를 구성하였다. 연구수업은 일반적 발상의 아이디어 스케치, 역발상 디자인 교육, 역발상 아이디어 스케치, 사후 설문지 작성으로 계획되었다. 제안된 워크시트는 S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수업에 적용되었으며 학생들이 스케치한 워크시트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학생들의 워크시트 유형은 ‘일반적인 단순 발상을 벗어난 역발상의 예’, ‘단순한 미적표현 또는 용도에만 집중한 사고에서 벗어난 역발상의예’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역발상이라는 새로운방법에 대해 매우 흥미로워했으며 앞으로도 역발상디자인 방법을 활용해 보겠다는 긍정적 방향 도출해낼 수 있었다. 역발상 수업 전에 시행한 워크시트 1과 수업 후에이루어진 워크시트 2의 비교를 통해 유의미한 변화를발견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사고가 일반적인 발상에서 벗어나 ‘다르게 생각하기’인 역발상으로 유연하게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장수업에서 쓰레기통을 역발상적 개념으로 리디자인하는 한 가지 방법의 사례를 실시한 연구로 마무리 되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화된 연구 설계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아이디어 스케치에서 더 나아가 실제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역동적인 형태의 교육이 연구되길 기대해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통념,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기존과는 다르게, 반대로 생각해 보는 성공적 경험을 쌓음으로써 현시대에 필요한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We are living in the new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machines perform most of human works, we need to develop our capabilities in the unique areas to human beings. All scholars agree that creative talents are needed armed with the thinking abilities of adjust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People should be able to do flexible thinking with insight and imagination to grow out of old patterns and explore new areas. This study focused on “new thinking” that machines are not capable of. It is important to think again our old ideas.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ontrarian approach or thinking differently in design education under the main goal of proposing a contrarian-type worksheet. The range of this study is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free semester system is in place, especially those who are interested in design programs. The study mainly consisted of a theoretical examination into the contrarian approach, theoretical classification of contrarian thinking, and contrarian type AR worksheets. In a theoretical examination,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definition of contrarian by various scholars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examined the Assumption Reversal(AR) technique.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study classified the theory visually.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worksheet to enable the experience of contrarian thinking in design education. The study classes were planned by sketching ideas of general thinking, training for contrarian design thinking, sketching ideas of contrarian thinking, and filling in post-survey questions. The proposed worksheet was applied to the first grade free semester class in S-middle school, and their design worksheets were classified by the type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then examined. The types of students’ worksheets could be analyzed in two major categories: ‘Examples of a contrarian thinking beyond the usual simple idea’ and ‘Examples of a contrarian thinking deviated from an idea that focused only on a simple aesthetic expression or purpose’. In this stud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through comparison of worksheet 1 that was implemented prior to the contrarian education and worksheet 2 that was made after education. and I could see that students’ thoughts were being flexibly shifted away from the general idea and into contrarian thinking, which is ‘thinking differently’. This study was concluded with a study that conducted an example of a way to redesign a trash can into a contrarian-concept. but I hope that the follow up study will be designed in a variety of ways. and also I look forward to the study of a dynamic form of education that can produce real results rather than sketching ideas.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lexible thinking needed in the present time as individuals grow out of the general common ideas and stereotypes and accumulate successful experiences of thinking differently and reversely. | - |
dc.format.extent | 13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 |
dc.title | 디자인 교육의 역발상적 유형 AR(Assumption Reversal) 워크시트 제안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생들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Proposal of a Contrarian-Type AR(Assumption Reversal) Worksheet in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Free Semester System-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8208/ksdc.2020.26.1.29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6, no.1, pp 293 - 305 | - |
dc.citation.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26 | - |
dc.citation.number | 1 | - |
dc.citation.startPage | 293 | - |
dc.citation.endPage | 305 | - |
dc.identifier.kciid | ART002569809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Design Education(디자인 교육) | - |
dc.subject.keywordAuthor | Contrarian(역발상) | - |
dc.subject.keywordAuthor | Worksheet (워크시트) | - |
dc.identifier.url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9809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