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선찰대본산 범어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공간구성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해-
dc.date.accessioned2021-06-22T20:43:23Z-
dc.date.available2021-06-22T20:43:23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issn1975-5813-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92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범어사 입지와 공간구성에 반영된 특징적인 모습을 풍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형세적 관점에 중점을 두고자하며, 선찰대본산이라는 특징 속에는 어떤 모습으로 승화⋅발전되고있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범어사를 기준으로 여러풍수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본다. 범어사는 백두대간의 가장 끝부분을 차지한 지기(地氣) 왕성한 입지를 통해 풍수적 특징을 실천하였다. 특히, 지기가 가장 왕성하게응결한 혈처에 금어선원을 배치함으로써, 한국 불교선종의 수사찰(首 寺刹)의 지위를 차지하는 모습이다. 범어사의 공간구성은 금정산의산세에 따라 상단과 중단 그리고 하단으로 구성되었다. 상단은 불단으로, 중단은 보살단 혹은 신중단으로, 하단은 신중단과 영단으로 구분하지만, 불가의 삼보사상과 유가의 삼합사상 그리고 풍수의 삼세심혈법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따라서 범어사는 불교와풍수적 특징이 절묘한 조화를 통해 가장 합리적인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을 이룬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dc.format.extent36-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dc.title선찰대본산 범어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공간구성-
dc.title.alternativeEnvironment of Feng shui and Space Organization in the Head Temple of Zen Buddhism, Beomeosa Temple-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35573/JKSC.19.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仙道文化, v.19, pp 318 - 353-
dc.citation.title仙道文化-
dc.citation.volume19-
dc.citation.startPage318-
dc.citation.endPage353-
dc.identifier.kciidART00202815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Beomeosa Temple-
dc.subject.keywordAuthorFeng shui-
dc.subject.keywordAuthorSpace organization(空間構成)-
dc.subject.keywordAuthorIdea of Three treasures(三寶思想)-
dc.subject.keywordAuthorIdea of union of heaven-
dc.subject.keywordAuthorearth and man(三合思想)-
dc.subject.keywordAuthor범어사-
dc.subject.keywordAuthor풍수-
dc.subject.keywordAuthor공간구성-
dc.subject.keywordAuthor불교-
dc.subject.keywordAuthor삼보사상-
dc.subject.keywordAuthor삼합사상-
dc.identifier.url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55006-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 >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E, PARK JEONG photo

HAE, PARK JEONG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