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와 〈가디언〉의 인터랙티브 뉴스 특성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기묵 | - |
dc.contributor.author | 전범수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2T21:02:15Z | - |
dc.date.available | 2021-06-22T21:02:15Z | - |
dc.date.issued | 2015-10 | - |
dc.identifier.issn | 1229-7526 | - |
dc.identifier.issn | 2586-7369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967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논문은 2014년에 보도된〈뉴욕타임스〉와〈가디언〉의 인터랙티브 뉴스를 비교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신문을 살펴본 결과 보도 횟수는〈가디언〉이 374건,〈뉴욕타임스〉 130건으로〈가디언〉이〈뉴욕타임스〉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목 및 본문 길이를 분석해 본 결과〈뉴욕타임스〉의 경우 인터랙티브 뉴스 전체의 느낌을 표현할 비교적 짧은 제목이 주를 이루었고 본문의 경우 인터뷰와 기사 설명을 충분히 살린 긴 분량이 많았다. 반대로〈가디언〉의 경우 제목에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는 긴 제목이 주를 이루었고 본문의 경우 짧게 처리했다. 셋째, 대표 인터랙티브 구현 방식을 살펴본 결과〈뉴욕타임스〉의 경우 차트ㆍ도표형이 가장 많았고〈가디언〉은 사진 그림형이 가장 많았다.〈뉴욕타임스〉는 비교적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함축시켜 차트ㆍ도표로 표현함으로써 이용자에게 간결한 방식으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택했다.〈가디언〉은 직관적인 사진과 그림을 활용해서 이용자가 관련 정보를 최대한 빨리 얻을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 뉴스를 보도했다. 넷째, 뉴스당 인터랙티브 요소가 복합 반영된 현황을 살펴본 결과〈가디언〉이 1개 이하의 간략한 구성의 인터랙티브 뉴스를 선호하는 반면〈뉴욕타임스〉는 2개 이상의 복합 구성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paper examined interactive news between the NYT and the Guardia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interactive news stories for the Guardian were much more than that of the NYT during 2014. Secondly, although the NYT focused on the short headline, the Guardian focused on long headline on the Internet version of newspaper. Thirdly, although the NYT mainly utilize chart based tables, the Guardian used picture based stories in terms of interactive news formats. And then, although the NYT focused on more complex architectures, the Guardian focused on more simple architecture in terms of complexity in interactive news. | - |
dc.format.extent | 25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언론학회 | - |
dc.title | 〈뉴욕타임스〉와 〈가디언〉의 인터랙티브 뉴스 특성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Comparative Study on Interactive News between the NYT and the Guardian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언론학보, v.59, no.5, pp 96 - 120 | - |
dc.citation.title | 한국언론학보 | - |
dc.citation.volume | 59 | - |
dc.citation.number | 5 | - |
dc.citation.startPage | 96 | - |
dc.citation.endPage | 120 | - |
dc.identifier.kciid | ART002045263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인터랙티브 뉴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온라인 뉴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스토리텔링 뉴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반응형 뉴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멀티미디어 뉴스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teractive news | - |
dc.subject.keywordAuthor | online news | - |
dc.subject.keywordAuthor | news storytell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reactive news | - |
dc.subject.keywordAuthor | multimedia news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56581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