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중 엽록소 a 측정방법에 대한 실험실 간 비교연구An Inter-Laboratory Comparison Study on Chlorophyll a Determination in Seawater
- Other Titles
- An Inter-Laboratory Comparison Study on Chlorophyll a Determination in Seawater
- Authors
- 문초롱; 강동진; 박미옥; 노재훈; 유신재; 문정언; 신경훈; 김윤숙; 최중기; 서영상
- Issue Date
- Feb-2014
- Publisher
- 한국해양학회
- Keywords
- Chlorophyll a; HPLC; Fluorometry; Spectrophotometry; Inter-laboratory comparison
- Citation
- 바다, v.19, no.1, pp 76 - 87
- Pages
- 1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바다
- Volume
- 19
- Number
- 1
- Start Page
- 76
- End Page
- 87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5074
- DOI
- 10.7850/jkso.2014.19.1.76
- ISSN
- 1226-2978
2671-8820
- Abstract
- 해양식물플랑크톤 생물량 및 일차생산력을 추정하기 위한 자료로서 이용되는 해수 중 엽록소 a의 농도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형광법(Fluorometry),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등의 분석방법으로 측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실험실에서 이러한 방법들로 분석된 엽록소 a자료를 통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현장 시료를 이용한 상호비교실험을 실시하여 엽록소 a 분석 실험실 및 분석 방법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상호비교실험은 엽록소 a 표준색소(R0) 및 동중국해(R1)와 동해해역(R2)에서 채수된 해수 현장 시료를 이용하여 총 3회 시행되었다. 참가실험실은 각각 HPLC(6개실험실), 형광법(4개 실험실), 분광광도법(3개 실험실)으로 시료를 분석하였다. 표준색소와 현장시료의 측정결과에서얻은 실험실 내 정밀도는 변동계수로 평가되었으며, 표준색소(R0)에서 9% 미만, 현장시료에서는 R1: 0.8~20%(평균 6.1%), R2: 4~21%(평균 13.2%)의 정밀도를 보였다. 전체 현장시료의 모집단에서 z-test를 이용하여 이상치를 제거한 측정결과들의 중앙값을 기준 값으로 평가한 HPLC, 형광법, 분광광도법 간의 차이는 20%이내였다. 이러한 차이는 현장시료의 균질성 및 실험실 내의 정밀도를 고려한 차이(R1: 8%, R2: 15%)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비교결과로 미루어 볼 때, 측정값들간의 차이는 분석방법의 차이보다는 실험실 간 차이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각실험실에서 생산된 자료는 분석 방법이 다르더라도 약 20% 이내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생산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타 실험실에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분석된 엽록소 a의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약 20%의 차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Chlorophyll a in seawater which is an indicator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on i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luorometry and Spectrophotometry. In this study, various methods for chlorophyll a determination in seawater are compared using in situ seawater samples from Korean seas. Three inter-laboratory comparison campaigns were carried out using chlorophyll a standard samples (R0) and in situ sea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East China Sea (R1) and the East Sea (R2). 6 laboratories by HPLC methods, 4 laboratories by fluorometry, and 3 laboratories by spectrophotometry participated. Precisions, defined a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ere within 9% in standard samples, 0.8~20% (average: 6.1%) in R1, 4~21% (average: 13.2%) in R2. Discrepancy in three methods was approximately 20% within the range of the sample homogeneity intended the laboratory precision (R1: 8%, R2: 15%). The discrepancy in laboratories was greater than the discrepancy in methods.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can be produced within 20% discrepancy in spite of using different methods.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this 20% discrepancy when using the chlorophyll a data produced by different laboratories and different method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