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R System에 대한 익명성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기법 연구A Research about Anonymity Based Privacy Protection Scheme for EMR System
- Other Titles
- A Research about Anonymity Based Privacy Protection Scheme for EMR System
- Authors
- 최은석; 은하수; Ubaidullah; 오희국
- Issue Date
- Nov-2013
- Publisher
- 한국정보처리학회
- Citation
- 제40회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20, no.2, pp 868 - 870
- Pages
- 3
- Indexed
- OTHER
- Journal Title
- 제40회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ume
- 20
- Number
- 2
- Start Page
- 868
- End Page
- 87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6333
- Abstract
-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은 기존에 수기로 작성하던 의무기록을 디지털화 한 것이다. 이는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의료인이 관리 도메인을 통해 환자의 정보를 세밀하게 수집할 수 있는 환자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관계자에 의해 의도적인 유출이 발생하거나 의료정보의 거래, 복제 등 위험성이 존재한다. 특히 일부 의료정보는 고용 차별이나 사회적 차별 등 환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안겨줄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침해는 유전성 질환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게 유전적 요인에 근거하는 고용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 관련연구에서는 환자의 임상적(Clinical) 또는 유전적(Genomic) 정보가 자신의 신원과 연계되어 있다면 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로 인해 EMR 시스템에 기반을 둔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 시스템 또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의료정보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부당한 고용 차별⦁보험 차별⦁사회적 차별로 연결될 수 있는 개인 의료정보의 유출방지, 타인에게 알려지고 싶지 않은 개인 의료정보가 무단으로 거래되지 않는 것을 보장해야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의무기록의 익명화를 통해 환자와 의무기록 간의 관계를 제거하는 여러 방법들을 소개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PUTING > ERICA 컴퓨터학부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