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근본주의- 또 하나의 세계화 대항논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도영-
dc.date.accessioned2021-06-23T02:11:01Z-
dc.date.available2021-06-23T02:11:01Z-
dc.date.issued2008-0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6511-
dc.description.abstract이슬람 근본주의는 그 자체로서 신자유주의적 질서 주도의 세계화에 보편적인 대항 체계로 발전할 수 있는가? 그것이 ‘또 다른 생활양식’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적용은 각 사회와 국가의 역사적 맥락이 갖고 있는 특수성에 의존하는 정도가 매우 강하다. 동시에 최근 발전한 이슬람 근본주의의 확산이 미국의 일국주의적 지배와 그 억압성이 강한 정도에 비례해서 나타나는 ‘대항’ 혹은 ‘반대’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이슬람 문화권 전역에 영향을 미쳤으나, 미국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쇠퇴하는 조짐이 나타나는 국면에서는 이슬람 근본주의 영향 자체도 감소하는 경향이 보이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결국 이슬람 근본주의의 성공은 그에 대립되는 세계화 이데올로기의 세력확산이 각 지역적 차원에서 ‘실패’를 낳는 것을 자원으로 삼고 그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슬람 근본주의는 또한 역사적으로 자신의 세력을 확산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단순히 ‘세계화에 대한 대안’ 체제로서만이 아니라 스스로가 ‘세계화의 주역’이 되는 이데올로기서 그 세력을 확대하려는 속성을 공유하는 하나의 체계이기도 한 것이다. 사회주의가 인터내셔널리즘을 통해 전 세계를 하나의 시스템안에 포함시키는 것을 지향했듯. 따라서 어쩌면 문제는 ‘세계화냐 아니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세계화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c.title북아프리카의 이슬람 근본주의- 또 하나의 세계화 대항논리-
dc.typeConference-
dc.citation.conferenceName근대성 논쟁과 대안적 세계화-
dc.citation.conferencePlace서울대학교-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 2. Conference Paper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Do young photo

Song, Do young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문화인류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