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응용을 위한 광 패킷 스위치 설계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한상화 | - |
dc.contributor.author | 유호민 | - |
dc.contributor.author | 이재면 | - |
dc.contributor.author | 강경태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04:43:24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04:43:24Z | - |
dc.date.issued | 2013-10 | - |
dc.identifier.issn | 1229-683X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9662 | - |
dc.description.abstract | 종래의 네트워크(Network) 스위치(Switch)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인터넷 트래픽(Traffic)에 대한 평균적인 처리량과 지연시간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따라서 경성 실시간 어플리케이션(Soft Real-Time Application)이 요구하는 최대 지연시간 보장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응용에 적합한 광(Optical) 스위치 설계 구조를 제안한다. 클럭(Clock) 기반 스케줄링(Scheduling) 기법과 클리어런스 타임(Clearance time) 최적 스위칭 기법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통과하는 트래픽이 스케줄 가능할 경우 모든 스위치에서의 패킷 전달이 두 클럭 이내에 완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최대 네트워크 지연시간을 예측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응용에 적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응용에서 패킷(Packet)의 크기나 버퍼링(Buffering)과 같은 광 패킷 스위치의 주요 구현 이슈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실시간 스위칭 알고리즘의 설계와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스위칭 알고리즘이 기존의 상용 제품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크로스바 스위칭 알고리즘인 iSLIP에 비해 스위칭에 의한 지연시간과 스케줄링 가능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입증하였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Most of existing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improving throughput and delay performance in an average sense rather than providing guaranteed delay bound that is critical for real-time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framework for a real-time switch that is intended for use as an optical switch fabric. Our contributions are three folds: First, by introducing a clearance-time optimal switching together with clock-based scheduling, our switching design guarantees any feasible real-time traffic to be switched in two-clock periods. Second, we formulate the worst-case delay incurred at the multi-hop switched networks, which ensures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switching design to potential real-time applications; third, we investigate key implementation issues of an optical packet switch such as packet size and buffering for real-time applications, and take account of these issues in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witching algorithm. Our numerical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switching algorithm provides a larger schedulability region with significantly reduced delay compared to the well-known iSLIP scheme. | - |
dc.format.extent | 12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정보과학회 | - |
dc.title | 실시간 응용을 위한 광 패킷 스위치 설계 | - |
dc.title.alternative | Design of an Optical Packet Switch for Real-Time Applications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40, no.5, pp 217 - 228 | - |
dc.citation.title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 - |
dc.citation.volume | 40 | - |
dc.citation.number | 5 | - |
dc.citation.startPage | 217 | - |
dc.citation.endPage | 228 | - |
dc.identifier.kciid | ART001812067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광 스위치 | - |
dc.subject.keywordAuthor | 실시간 네트워크 스위치 | - |
dc.subject.keywordAuthor | 최대 지연시간 | - |
dc.subject.keywordAuthor | 클럭 기반 스케줄링 | - |
dc.subject.keywordAuthor | 클리어런스 타임 최적 스위칭 기법 | - |
dc.subject.keywordAuthor | 스케줄링 가능성 | - |
dc.subject.keywordAuthor | optical switch | - |
dc.subject.keywordAuthor | real-time network switch | - |
dc.subject.keywordAuthor | worst-case delay | - |
dc.subject.keywordAuthor | clock-driven schedul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clearance-time optimal switch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schedulability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257903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