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시조 창작에서 法古와 創新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진-
dc.date.accessioned2021-06-23T05:23:03Z-
dc.date.available2021-06-23T05:23:03Z-
dc.date.issued2013-01-
dc.identifier.issn1226-2838-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0506-
dc.description.abstract문학에서 법고창신의 논쟁은 그 역사가 오래 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연암 박지원으로부터 비롯된 문장 작법이라고 할 수 있다. 옛 것을 본받음을 의미하는 법고와 새롭게 창작하는 창신은 상반되는 것 같지만 연암은 어느 하나에 치우치는 것을 경계하여 문장 작법에서 양자의 균형을 이야기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법고창신의 개념을 문학 창작으로 확대하여, 법고창신의 관점에서 시조 작법을 조망하였다. 시조를 논하기에 앞서 시조 작품의 발문을 대상으로 법고창신에 대한 문인들의 생각을 검토하였다. 본고에서 인용한 작품의 발문은 작가가 자서한 것으로써, 작품을 창작하게 된 경위나 태도를 밝혀 놓고 있다. 이러한 발문의 내용을 토대로 시조에 나타난 법고창신을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법고의 절대적 긍정, 법고와 창신의 조화, 법고의 해체와 창신이 그것이다. 이러한 분류에 근거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시조 작품의 면모를 파악하였다. 하지만 법고를 절대적으로 긍정하더라도 창신의 면모가 없는 것은 아니며, 법고를 해체하는 경우라도 어쩔 수 없이 그것의 영향권 내에 놓이게 된다. 예컨대 <도산십이곡>을 효방함으로써 법고의 전형으로 일컬어지는 장경세의 <강호연군가>에도 창신이 있고, 법고의 해체로부터 이루어진 조선 후기 사설시조라도 일정부분의 법고는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법고와 창신을 용어만으로 본다면 상대적이지만 이들은 모두 하나의 작품을 형성하는 작법 가운데 하나라는 점에서 공통되기 때문이다. 이렇듯 법고창신의 관점에서 시조를 바라본다는 것은 결과로서의 시조뿐만 아니라 그것의 작법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dc.description.abstractIt is old that the argument of Bubko Changsin(法古 創新) in literature. But, this is a writing method that comes from Younam(燕巖) Park Ji-won(朴趾源) in Korea. Bubko means that emulate old thing, and Changsin means that, new creative. Therefore these conflicting seems promising. But Younam emphasized the balance of the two. In this paper discussed were Sijo(시조) creative from the point of view of Bubko Changsin. For the sake of argument, first, writers think of review about Bubko Changsin in after note. This is a quote from a piece of paper after the note, the wrote directly to the writer. And so, three categories based on it. That is, absolutely positive of Bubko, harmony of Bubko and Changsin, dissolution of Bubko and Changsin. These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ed sijo work. However, the absolute Bubko is not absolute Changsin. For example, Jang, Gyung-se(張經世)'s <Ganghoyungoonga(江湖戀君歌)>is typical of the bubko by imitating <Dosansibigok(陶山十二曲)>. However, even here the Changsin does exist. Also latter period Josun(朝鮮) dynasty's Sasul-sijo(사설시조) was done against dissolution of Bubko. But even here the Bubko does exist. Because these are perfect together as the one work. On the other hand, these research methods have meaning that interested in the creative of sijo.-
dc.format.extent3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시조학회-
dc.title시조 창작에서 法古와 創新-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Bubko Changsin in Sijo Creation-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시조학논총, v.38, pp 17 - 48-
dc.citation.title시조학논총-
dc.citation.volume38-
dc.citation.startPage17-
dc.citation.endPage48-
dc.identifier.kciidART001741063-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Bubko Changsin-
dc.subject.keywordAuthorAbsolutely positive of Bubko-
dc.subject.keywordAuthorHarmony of Bubko and Changsin-
dc.subject.keywordAuthorDissolution of Bubko and Changsin. The creative of sijo.-
dc.subject.keywordAuthor법고창신-
dc.subject.keywordAuthor법고의 절대적 수용-
dc.subject.keywordAuthor법고와 창신의 조화-
dc.subject.keywordAuthor법고의 해체-
dc.subject.keywordAuthor시조 작법.-
dc.subject.keywordAuthorBubko Changsin-
dc.subject.keywordAuthorAbsolutely positive of Bubko-
dc.subject.keywordAuthorHarmony of Bubko and Changsin-
dc.subject.keywordAuthorDissolution of Bubko and Changsin. The creative of sijo.-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08708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