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권 해양환경변화에 관한 유기지구화학적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신경훈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05:53:43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05:53:43Z | - |
dc.date.issued | 2003-06-2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1251 | - |
dc.description.abstract | 전 지구적인 기후변동모델들 (General Circulation Climate Models)에 의한 장래의 기후예측의 결과들은 대기 중의 온실효과가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극지방에서 특히 북극권에서 가장 민감하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그로 인한 Feedback에 의해 전 지구적인 기후변동이 초래될 것을 경고 하고 있다 (Samiento and Toggweiler, 1984; Broecker and Peng, 1989; Forman et al., 2000). 더욱이 북극권에서 형성되는 심층수괴가 전 해양의 열-염분적 순환을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많은 기후학자들과 해양학자들이 북극해가 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북극해와 그 연근해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함께 많은 공동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본 워크�에서는 미국 알라스카주립대학 국제북극권연구쎈타 (프론티어관측연구프로그램)에서 지난 4년간 수행해온 북극해와 베링해 생물지구화학과정에 관한 유기지구화학적 연구의 일부를 소개한다. 소개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베링해의 Cocolithpores 대량번식 메카니즘과 기후변동 (2) 베링해와 서부북극해의 용존유기물의 기원과 분포 (3) 북극해 유입 하천수의 추적자로서 용존유기물의 활용 (4) 서부북극해 생물생산과 탄소순환 (5) 해빙부착조류의 유기물 생산과정 (6) 북극해 연안 퇴적물의 기원과 분포 (7) 북극해 고해양환경 복원 | - |
dc.title | 북극권 해양환경변화에 관한 유기지구화학적 연구 | - |
dc.type | Conference | - |
dc.citation.conferenceName | 극지연구 Workshop | - |
dc.citation.conferencePlace | 강릉대학교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