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콘크리트포장 초기거동 예측프로그램의 국내 적용성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영찬-
dc.date.accessioned2021-06-23T06:14:32Z-
dc.date.available2021-06-23T06:14:32Z-
dc.date.issued2002-11-09-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167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고속도로 콘크리트포장은 1982년 개통된 남해고속도로의 지선인 부산-마산간 고속도로에서 최초로 적용하였다. 당시, 시공성과 유지관리가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양호하지는 않으나 중차량에 대한 뛰어난 적용성과 장기 공용성을 지녔고, 또한 국내의 비교적 풍부한 시멘트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포장의 사용은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포장의 장점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시공 초기의 품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콘크리트포장의 수명은 그 포장의 초기재령의 상태에 크게 좌우된다. 즉 초기균열이 많거나 균열틈이 많이 벌어진 경우 그 포장의 장기 공용성은 그렇지 않은 포장에 비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초기재령의 상태는 시공시기, 재료조건, 설계조건, 시공 직후의 온?습도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진국의 경우 신설 포장의 시공시 시공현장조건에 따라 시공방법을 달리하여 최상의 품질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포장의 초기거동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공시 적절히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시공현장의 특성(기후, 온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시공을 하고 있어, 균질한 품질의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콘크리트포장초기에 발생되는 강도 및 응력의 크기를 시공관리요소를 고려하여 그 크기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 적정성을 시험시공을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dc.title콘크리트포장 초기거동 예측프로그램의 국내 적용성 연구-
dc.typeConference-
dc.citation.conferenceName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dc.citation.conferencePlace부산-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2. Conference Paper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