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에 나타난 학교체육(진흥)법 제정 관련 사회적 담론 분석An 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the Enactment of School Sport Promotion Law Produced in the Media
- Other Titles
- An 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the Enactment of School Sport Promotion Law Produced in the Media
- Authors
- 박재우
- Issue Date
- Sep-2012
- Publisher
- 한국콘텐츠학회
- Keywords
- Social Discourse; Media; School Sport Promotion Law; School Sport; 사회적 담론; 미디어; 학교체육진흥법; 학교체육
- Citatio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2, no.9, pp 434 - 446
- Pages
- 1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Volume
- 12
- Number
- 9
- Start Page
- 434
- End Page
- 44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002
- DOI
- 10.5392/JKCA.2012.12.09.434
- ISSN
- 1598-4877
2508-6723
- Abstract
- 본 연구는 학교체육(진흥)법을 사례로 본 법안이 국회통과에 이르기까지의 제정 전반의 과정 속에 어떠한 담론이 생산되고 형성되어 왔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디어 매체를 통해 학교체육(진흥)법 제정과 관련하여 그동안 어떠한 사회적 담론이 생산되고 형성되었는가를 과정적 맥락적인 관점에서 고찰해 봄으로써 학교체육(진흥)법 제정과 관련된 정치적·사회적 맥락에 대한 논리적인 이해와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 학교체육(진흥)법 제정 관련 담론의 분석은 학교체육, 더 나아가 한국 체육 전반의 구조적 시스템 속에 존재하는 내재적 현실과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결과론적인 입장에서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맥락의 사회적 담론이 생산되고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체육(진흥)법 제정 관련 사회적 담론의 지형은 첫째, 학교체육 관련 법안 제정을 요구하는 사회적 ‘지지’ 담론, 둘째, 본회의 부결 이후 대두된 ‘성토’ 담론, 셋째, 또 다른 ‘시각’으로서 엘리트체육의 위축을 염려하는 ‘반대’ 담론 그리고 넷째, 본회의 통과 이후 학교체육 도약과 활성화를 기대하는 ‘희망’ 담론으로 구성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a social discourse on the enactment of School Sport Promotion Law produced in the media. For this purpose, 73 articles related to the law collected from portal sites such as 'Daum', 'Naver' and 'Yahoo' as well as 'KINDS'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a social discourse's feature related to the enactment of the law is a social 'support' discourse calling for the enactment of the law, a 'denunciation' discourse after the rejection at the regular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 'opposition' discourse concerned about the regression of elite sport and a 'wish' discourse expecting the leap and vitalization of school sport. From the holistic point of view, a dominant discourse is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the enactment of the law. However, smaller but stronger voices of dissent concerning about the decline in the development of elite sport (especially elite sporting success) were raised.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SPORTS AND ARTS > MAJOR IN SPORT CULTUR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