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뭄 위험도 평가: 자료기반 가뭄 위험도 지도 작성을 중심으로Assessment of Drought Risk in Korea: Focused on Data-based Drought Risk Map
- Other Titles
- Assessment of Drought Risk in Korea: Focused on Data-based Drought Risk Map
- Authors
- 박종용; 유지영; 이민우; 김태웅
- Issue Date
- Jul-2012
- Publisher
- 대한토목학회
- Keywords
- 가뭄; 노출성; 취약성; 위험도; drought; hazard; vulnerability; risk
- Citation
- 대한토목학회 논문집B, v.32, no.4B, pp 203 - 211
- Pages
- 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대한토목학회 논문집B
- Volume
- 32
- Number
- 4B
- Start Page
- 203
- End Page
- 211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050
- DOI
- 10.12652/Ksce.2012.32.4B.203
- ISSN
- 1015-6348
2287-934X
- Abstract
- 가뭄은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 다른 자연재해와는 달리 발생시점이 명확하지 않으며, 가뭄발생 시 피해지역이 광범위하기때문에 사회·경제적으로 겪는 피해가 매우 크다. 따라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가뭄에 대한 평가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학적 인자와 사회경제적인 인자에 대한 여러 가지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가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가뭄의 발생확률을 바탕으로 가뭄 노출성 지수(DHI)와 가뭄의 사회경제적인 영향을 반영하는 가뭄 취약성 지수(DVI)를 개발하고, 두 인자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가뭄 위험도 지수(DRI)를 개발하였다. 행정구역별로 산정된 DRI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적 가뭄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가뭄 위험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농업 밀집지역인 전라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뭄 위험도 지도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가뭄대책을 수립할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ce drought occurs, it results in the extensive affected area and considerable socio-economic damages. Thus, it is necessary to assess drought risk and to prepare its counterplans. In this study, using various observation data on meteorological and socio-economical factors, drought risk was evaluated in South Korea. To quantify drought risk, Drought Hazard Index (DHI) was calculated based on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drought, and Drought Vulnerability Index (DVI) was computed to reflect socio-economic consequences of drought. Drought Risk Index (DRI) was finally suggested by combining DHI and DVI. These indices were used to assess drought risk for diffe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outh Korea.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highest drought risk area was Jeolla Province where agricultural practice is concentrated. The drought risk map proposed in this study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thus it could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drought preventive measure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