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이미지 분석을 통한 그래픽 T-shirts 활성화 방안 연구 및 제안 -중국 상해 20대 여성패션시장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송지성 | - |
dc.contributor.author | 정나리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08:53:51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08:53:51Z | - |
dc.date.issued | 2012-06 | - |
dc.identifier.issn | 1598-6497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094 | - |
dc.description.abstract | 금융위기의 영향 하에서 정부가 중국 경제의 기반인내수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내수시장에 발 벗고 나서면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생산 기지인 동시에 세계 최대의 소비 시장으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경제 성장과 더불어 중국인들의 패션의식에도 변화가 일어나면서 의류 구매 시 가격보다는 품질을 중시하고 자신의 개성에 맞는 브랜드 제품을 추구함에 따라 글로벌브랜드들의 중국의 패션내수 시장공략이 활성화되고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 패션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도 소싱기지 개척의 목적을 기점으로 활발하게진행되었으나 중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성공률이 10%미만으로 추정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본 논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내수 시장에 진출 계획이 있거나 진출 중인 한국 패션기업에 중국 상해의 스트리트 패션과 패션 시장 분석을 통한 선호 패션 그래픽 모티브와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중국 패션 시장에 대한 지역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 하였는데, 실증적 연구에서는 중국 패션도시이자 경제중심 도시인상해를 선정하여 중요 패션 거리에서 2011년 S/S 시즌 현지 촬영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판독이 용이한 20∼30대 성인 여성의 사진 3000장의 유형을 분류,분석 하였다. 상해의 5곳의 장소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티셔츠의 시각 요소 중 가장 높은 빈도의 모티브는 타이포, 캐릭터, 감성형 심플 도형 순위였고 기법요소로는 스팽글, 핫픽스, 큐빅등의 소재를 활용한 기법이 가장 높은빈도를 차지 하였다. 다음으로는 나염과 실사이미지를활용한 그래픽의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분석결과20-30대 중국 여성의 패션 그래픽 모티브 선호 유형을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원리를 바탕으로 현지중국내의 브랜드에 적용을 제안해 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 고객의 선호도와 발빠른시장 트렌드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추후 지속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면 빠르게 급변하고 예측하기 힘든 현대의 소비자들의 패션 트렌드를 빠르고 더 정확히 예측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될 것이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Under the influence of a financial crisis, as the government has taken measures in order to vitalize a domestic market whose base is the Chinese economy. Therefore, China is consolidating itself as both the world`s largest production base and consumption market. Along with its economic growth, a change in Chinese people`s awareness of fashion has taken place, thereby emphasizing quality over price upon purchasing clothes, while pursuing brand clothes tailored to their own taste. This, in turn, has allowed global brand makers to actively advance into China`s fashion market. Since the late 1990s, Korean fashion companies have also actively advanced into the Chinese market with an aim to establish sourcing bases, however they are struggling in the market with only 10% of a success rate despite Chinese people`s positive image o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gional data on the current Chinese fashion market to Korean companies that plan to advance into Shanghai, China or that are already stationed in the city by suggesting a preferred fashion graphic motive and technique through analyses on Shanghai`s street fashion and the city`s fashion market. A study method combines both a literature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in Shanghai, China`s city of fashion and of economy by filming the city`s major fashion streets with a theme of 2011 S/S season. As a result, 3,000 pictures of adult female in their 20s to the 30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pictures of five places in Shanghai, the most frequent motives for a t-shirt`s visual factors are typo, character, and sentimental simple figures in order. As for technique factors, techniques using spangle, hotpix, and cubic were most frequent in order. Next, preferences for graphics that employ textile printing and real images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understand a preferred type of a graphic motive for Chinese women in their 20s to the 30s. | - |
dc.format.extent | 12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 |
dc.title | 시각이미지 분석을 통한 그래픽 T-shirts 활성화 방안 연구 및 제안 -중국 상해 20대 여성패션시장을 중심으로-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and Proposal Activation Plan of T-shirt Design through the Application of Graphic Design -Focusing 20 Women’s China Shanghai Fashion Market-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18, no.2, pp 187 - 198 | - |
dc.citation.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 |
dc.citation.volume | 18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startPage | 187 | - |
dc.citation.endPage | 198 | - |
dc.identifier.kciid | ART001676703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상해 | - |
dc.subject.keywordAuthor | 스트릿패션 | - |
dc.subject.keywordAuthor | 티셔츠 | - |
dc.subject.keywordAuthor | 시각요소 | - |
dc.subject.keywordAuthor | 패션그래픽 | - |
dc.subject.keywordAuthor | Shanghai | - |
dc.subject.keywordAuthor | Street Fash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T-shirts | - |
dc.subject.keywordAuthor | Visual Element | - |
dc.subject.keywordAuthor | Fashion Graphics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615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