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의 GUI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조철수 | - |
dc.contributor.author | 김헌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08:53:53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08:53:53Z | - |
dc.date.issued | 2012-06 | - |
dc.identifier.issn | 2092-7045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096 | - |
dc.description.abstract | 스마트폰 터치를 적절하게 유도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 설계는 사용자들의 상호작용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 상호작용의 연구대상이었던 WIMP의 디자인 요소를 기초로 하여 터치스크린 GUI 디자인의 변화 형태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현실감에 가장 영향을 주는 화질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화면의 크기, 해상도, 색의 속성 있었다. 둘째, 적은 공간에서 효율성을 위해 작동되는 디자인 요소 변화로 먼저 윈도우가 사라지고 윈도우의 구성요소들이 기능적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툴바의 배열이 상·하 배열을 하고 스마트폰의 방향전환에 의한 가로 세로 전환에 적응하는 자유로운 레이아웃 유연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셋째, 색채의 경우 사용자들에게 현실감을 증가 시기키 위해 GUI 디자인에서 채도의 차를 낮게 배색해야 한다. 넷째,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오로지 GUI에 의존하게 되어 메뉴와 아이콘의 기능 확장이 필요했다. 이러한 시각적 단서는 애니메이션, 재인성, 입체 공간 구성, 강제 지시형식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IMP만을 그 분석 대상으로 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의 GUI 디자인 요소를 정의하고 발전 방향을 제안하여 차후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GUI 디자인을 위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한다. 스마트폰 GUI에서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메뉴와 아이콘에 대한 계속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In view of proper guidance for using a smartphone touchscreen, GUI(Graphic User Interface) designs are based on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users. Moreover, types of changes in touchscreen GUI designs were studi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elements of WIMP that have been subjects for existing interactions.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using a smartphone, determinants of definition that are most effective for feeling of reality were resolution and attributes of color, in addition to the size of touchscreen. Second, as changes in design elements operated for efficiency in a small space, Windows elements are now under functional changes, as well as disappearance of Windows. Moreover, the flexibility of layout is required to be applicable to vertical toolbar layout and horizontal/vertical conversion according to directional conversion of smartphones. Third, for colors, saturation difference must be lowered in GUI designs to improve the feeling of reality for users. Fourth, due to dependence only on GUI for interactions with users, functional expansion of menus and icons was needed. Moreover, visual cues such as animation, recognition, solid space organization and forcible order format were used.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the only subject for analysis, WIMP. Instead, it made the basis for further studies for touchscreen GUI designs of the Smartphone by defining and GUI design elements and showing their developmental directions. It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on menus and icons to lead interactions in Smartphone GUIs. | - |
dc.format.extent | 10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 - |
dc.title |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의 GUI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GUI Design Element of SmartPhone Touchscreen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7246/jkdk.2012..22.017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디자인지식저널, v.22, pp 169 - 178 | - |
dc.citation.title | 디자인지식저널 | - |
dc.citation.volume | 22 | - |
dc.citation.startPage | 169 | - |
dc.citation.endPage | 178 | - |
dc.identifier.kciid | ART001667069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Smartphone | - |
dc.subject.keywordAuthor | WIMP | - |
dc.subject.keywordAuthor | GUI. Interface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895899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