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무(巫)의 ‘꽃밭’에 나타난 ‘위대한 어머니 ’ (The Great Mother)인 ‘원강암’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명희-
dc.date.accessioned2021-06-23T09:06:27Z-
dc.date.available2021-06-23T09:06:27Z-
dc.date.created2021-01-22-
dc.date.issued2012-04-
dc.identifier.issn1598-101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753-
dc.description.abstract무에서는 온통 ‘꽃’의 세계라고 할 만큼 꽃에 관한 신화와 신화소가 많이 묘사되어 있다. 특히 무당들 신당에는 지화(紙花)로 제단을 꾸미고, 지화에 신령들을 좌정시켜 신성(神聖)한 공간으로 신의 현현(顯顯)을 발현한다. 무에서는 이런 ‘꽃’을 신화적 공간인 ‘꽃밭’으로 만들어 놓았다. 이 ‘꽃밭’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상징체계가 변모를 하였다. ‘꽃밭’의 변모 과정을 거치면서 거기에 따른 신화도 함께 변모 하였다. 처음의 ‘꽃밭’은 자연상태의 ‘꽃밭’이었다. 우주창조 당시의 세계, 즉 신의 세계였다. 사람과 동물이 함께 어울려져서 사람과 동물이 구별이 없는 세계였다. ‘꽃밭’의 첫 번째 변모는 여성과 함께였다. 이 ‘꽃밭’을 ‘생명의 꽃밭’으로 칭하였고 이 ‘생명의 꽃밭’에서는 ‘삼승할망’의 신화를 가지고 논하였다. 문화인류학이나 고고학의 연구 성과로 인류의 초기 사회는 모계사회였을 것이라 데에는 이변이 없다. 이 ‘생명의 꽃밭’은 이런 모계사회에서 발생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과정이 바로 본 논고에서 말하고 있는 ‘재생의 꽃밭’이다. 이 꽃밭에서는 위대한 어머니 신 ‘원강암’ 신화를 가지고 논하였다.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넘어오면서 ‘꽃밭’의 상징체계도 남신으로 대치가 되고 생명의 잉태도 남신이 차지한다. 그리고 여신은 자식을 양육하는 것으로 그 기능이 축소(생명의 꽃밭에서 보다) 되어졌다. 우리의 위대한 어머니 (The Great Mohter)인 원강암은 살아서도 남편과 아들을 위해 목숨을 기꺼이 내 놓고, 그 죽음마저 남은 자식들을 위해 자신의 신체를 내 놓았다. “어머니 죽은 신체 이마에 동벡낭이 나고, 벳동에 오동낭기나 음은 무슨 까닭 임니까 무르니, 나 이망에 오벡낭은 열매여랑 기름빠서, 금시상 여자 머리에 바르고, 설리 죽은 나베똥에 오동낭은 끈어다가, 어망 죽은 아덜방정 때 하렌나앗저하니” 우리는 죽은 어머니 신체에서 자라난 나무를 가지고 우리에게 유익한 것들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어머니는 죽어서도 자신을 돌보지 알고 현생에 남아있는 자식들을 위해 자신을 맡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어머니는 아무 말 없이 그들 남신 뒤에 서서 아무 말 없이 모든 것을 포용하면서 우리 곁에서 숨 쉬며 살고 있다. 이것이 한국의 전통적 원형적 어머니 상(像)이 되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비교민속학회-
dc.title무(巫)의 ‘꽃밭’에 나타난 ‘위대한 어머니 ’ (The Great Mother)인 ‘원강암’-
dc.title.alternativeWONGANGAM(God of the Great Mother), appeared in flower garden of Shamanism-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명희-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비교민속학, no.47, pp.493 - 516-
dc.relation.isPartOf비교민속학-
dc.citation.title비교민속학-
dc.citation.number47-
dc.citation.startPage493-
dc.citation.endPage51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66035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flower garden-
dc.subject.keywordAuthorrestoration to life-
dc.subject.keywordAuthorGod of the great mother-
dc.subject.keywordAuthorwoman myth-
dc.subject.keywordAuthorWongangam-
dc.subject.keywordAuthor꽃밭-
dc.subject.keywordAuthor위대한 어머니신-
dc.subject.keywordAuthor원강암-
dc.subject.keywordAuthor재생-
dc.subject.keywordAuthor여성신화-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879101-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 CUL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yung Hee photo

Kim, Myung Hee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 CUL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