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설치물의 유형별 사례와 영상콘텐츠 분류Type analysis and visual contents categorization of media installations
- Other Titles
- Type analysis and visual contents categorization of media installations
- Authors
- 노승관; 오영미
- Issue Date
- Oct-2011
- Publisher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 Keywords
- media installation; interactive visual; visual contents type; media installation; interactive visual; visual contents type
- Citation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11, no.4, pp 411 - 420
- Pages
- 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Volume
- 11
- Number
- 4
- Start Page
- 411
- End Page
- 42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8808
- DOI
- 10.17280/jdd.2011.11.4.040
- ISSN
- 1598-2319
- Abstract
- 스크린이 첨단기술과 만난 미디어설치물은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다. 공공장소, 건물외벽, 이벤트 비주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미디어설치물들이 전통적 간판과 포스터를 대체하고 있다. 미디어 설치물은 기존의 영상콘텐츠와는 달리 영화, TV 등 특정매체와 규격에 종속되어있지 않고 LED전광판, 미디어 파사드, 미디어월 등 다양한 형식과 크기로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설치물이 등장함에 따라 표준적인 영상디자인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각 미디어설치물의 형태에 적합한 영상콘텐츠를 디자인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설치물의 분석을 통해 주요 미디어설치물의 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로 표시되는 영상콘텐츠의 특성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먼저 설치기간과 형태를 기준으로 단기간 설치물, 조각형 설치물, 건축형 설치물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대표 설치물의 예를 4가지씩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설치물들을 통해 표현되는 영상콘텐츠의 내용을 구성-추상, 작품성-상업성의 축으로 구분하여 배치하였다. 그 결과 단기간 설치물의 경우 구상적인 영상콘텐츠, 조각형 설치물의 경우 상업적인 영상콘텐츠, 건축형 설치물의 경우 추상적 영상콘텐츠가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Media installations where screen and new technologies were emerged became popular. Media installations in various places; public spaces, surface of architectures and visuals for events are replacing old signs and posters. Unlike TV and cinema, media installations are not limited by media type and specification and constructed in various names like LED board, media facade and media walls. But emergence of varous style in construction and lack of visual design standard for them presents problems and creating appropriate media contents design for various installation types has become important task. This paper analyzed various media installations in Korea and categorized them in media installation types and identifed characteristics of media contents of these installations. First, based on length of event and shape of construction, installa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short term installation, sculpture installation and architecture installation, and presented four examples of each types. Second, media contents from these installations were evaluated based on two axis; abstract - figurative and artistic - commercial. Result showed that short term installations were characterized to have figurative media contents, sculpture installation had commercial media contents and architecture installation had abstract media content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