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별 장르 선호도가 지상파방송 채널 시청 정도에 끼치는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전범수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3T11:40:13Z | - |
dc.date.available | 2021-06-23T11:40:13Z | - |
dc.date.issued | 2011-07 | - |
dc.identifier.issn | 2288-3134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8883 | - |
dc.description.abstract | 연구는 매체별 장르 선호도가 각각의 채널별 시청 정도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상파 방송 장르는 드라마(3.86)와 뉴스/시사 장르(3.83), 오락(3.82) 등으로 나타났다. 케이블TV 장르별 선호도는 오락 장르가 3.7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드라마(3.59), 뉴스/시사(3.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별 특성별로 지상파 방송 장르별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남자와 여자 응답자들 간의 장르 선호도 차이는 뉴스/시사, 드라마, 다큐멘터리, 스포츠 등의 장르에서 나타났다. 케이블TV 뉴스/시사 장르에서는 남자 응답자가, 드라마 장르에서는 여자 응답자의 장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지상파 방송 장르별로 살펴보면 뉴스/시사, 영화/만화, 오락 장르 등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추세는 케이블TV 장르에서도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영화/만화, 오락 장르의 경우에는연령이 젊을수록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셋째, 매체별 장르별 선호도가 채널별 시청 정도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상파 방송 4개 채널들은 뉴스/시사 분야와 드라마 장르를 중심으로 경쟁 시장을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상파 4개 모든 채널들 간에 드라마와 뉴스/시사 프로그램 편성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KBS 1 채널 충성집단과 비집단을 판별하는 지상파방송 장르별 요인은 뉴스/시사, 다큐멘터리, 교양/교육 장르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KBS 2 채널을 포함해 MBC, SBS 충성집단 판별 요인으로는 지상파 방송 장르의 경우에 드라마와 뉴스/시사, 다큐멘터리 등이 기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media genre preferences on the degree of television channel viewing. The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preferred genre among respondents are drama, news and entertainment related programs. Secondly,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genre preferences. Thirdly, all of terrestrial channels including KBS 1, 2, MBC and SBS were relatively similar in users’ genre preferences. Finally, discriminant factors for the high degree of channel loyalty from users were drama, documentary and news genres. | - |
dc.format.extent | 23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방송학회 | - |
dc.title | 매체별 장르 선호도가 지상파방송 채널 시청 정도에 끼치는 영향 | - |
dc.title.alternative | The Effects of Media Genre Preferences on the Degree of Television Channel Viewing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방송통신연구, no.75, pp 148 - 170 | - |
dc.citation.title | 방송통신연구 | - |
dc.citation.number | 75 | - |
dc.citation.startPage | 148 | - |
dc.citation.endPage | 170 | - |
dc.identifier.kciid | ART001572650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Genre Preference | - |
dc.subject.keywordAuthor | Television View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Media Genre | - |
dc.subject.keywordAuthor | 방송 장르 | - |
dc.subject.keywordAuthor | 채널 시청 | - |
dc.subject.keywordAuthor | 채널 충성도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59031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